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성
지식
두뇌
지적
지혜
교양
뉴스
"
지능
"(으)로 총 5,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캐치 업! 구글 (5)] 폰에서 만화보기 불편하다고요? 인공
지능
이 도와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5
더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 구글 인공
지능
관련 API 2종 공개 구글이 자사 인공
지능
기술과 데이터를 외부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API를 공개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자연어 API는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 글쓴이의 호불호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인터넷에 올라온 우리 ... ...
킹코브라와 개떼가 싸우면
2016.07.24
갖고 있는 뱀도 자신의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 드는 개떼 앞에서 무력하다. 개의 놀라운
지능
과 전투력을 보여주는 영상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재조명을 받으며 화제를 낳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캐치 업! 페이스북 (4)] 메신저로 세계 정복? 사용자 10억명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6.07.22
환경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페이스북이 가진 자연어 처리 기술 등 인공
지능
기술도 외부의 챗봇 개발 업체들에 공유합니다. 챗봇이 사람처럼 똑똑해져 사용자의 필요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입니다. 스마트폰 위에 앱이 돌아가듯 메신저 위에 챗봇이 돌아가게 해서 메신저를 ... ...
[궁금한 이슈 why]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ARM이란 회사가 35조원이라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벨트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인간과 대화하는 로봇 ‘페퍼’도 선보인 바 있습니다. 인공
지능
로봇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모든 사물들과 인간의 접점 역할을 하게 되지 않을까요? 이들을 연결하는 기기와 네트워크의 근간에 ARM의 저전력 반도체 기술이 들어갑니다. 이제 막 발표가 된 사안이라 앞으로 ... ...
똑똑함의 끝은 어디? 로봇청소기 스펙열전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관건! 단지 먼지만 잘 빨아들이는 '기계적'인 청소기는 안녕, 이제는 바야흐로 인공
지능
(AI)와 증강현실(AR) 그리고 고퀄리티의 디자인까지 '감성적'인 로봇청소기의 시대다. 더욱 강해진 성능과 보다 합리적인 가격을 가진 제품구매를 통해 새로운 시대에 발 맞춘 센스있는 소비자가 되어보기를 ... ...
“국산 스마트폰 앱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언어장벽 낮춘다”
2016.07.17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컴 말랑말랑 지니톡은 국내 연구진이 언어
지능
연구를 통해 2012년 처음 내놓은 한영 자동통역 앱 ‘지니톡’의 성능 향상 버전이다.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해 번역하는 통역률은 85%가량으로 일반 관광 분야에 활용되는 통역 앱보다 10% 앞선다. ETRI는 이 ... ...
네이버 이해진 입 열다 - 라인 상장이 끝이 아니라 시작인 이유
2016.07.16
PC나 모바일 외에 사람들이 접하는 다른 환경에서도 가치를 줄 수 있는 기술, 인공
지능
을 적용한 기술 등을 올해 하반기에 보여줄 수 있으리란 기대입니다. 이번 상장으로 라인은 이 전쟁에 참여할 수 있는 여력을 어느 정도 확보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사들에 비하면 여전히 미미한 ... ...
머리 좋은 강아지가 더 오래 산다?
2016.07.16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연구진은 개들도 사람처럼 치매에 걸린다고 말했는데요. 이들의
지능
과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조사한다면 사람의 치매 치료와 관련된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저널 ‘인텔리전스’에 발표되었습니다. ... ...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
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07.13
등은 6월 2일 페이스북 엔지니어링 블로그(code.facebook.com)를 통해 딥러닝 기반의 인공
지능
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딥러닝은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지식을 배우는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 대량의 데이터에서 추상적인 패턴을 찾아내도록 한 컴퓨터 학습법이다. 딥텍스트는 페이스북에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부작용 없이 국소 부위에서만 약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인공
지능
(AI)을 갖춘 생명체처럼 스스로 움직이고 상호작용하는 마이크로 로봇에도 활용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