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30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신소재, 군대를 더 강력하고 스마트하게!
동아사이언스
l
2013.05.20
반도체 소자기술⁵⁾이 상용화돼 첨단무기에 쓰이고 있다. ‘그래핀’은 2010년 노벨
물리
학상을 받은 연구주제였다. 그로부터 13년이 지난 지금 기술로 구현된 것이다. 그래핀은 두께가 0.35nm밖에 안 되는데도 강철보다 100배나 강하다. 전기적인 특성도 강력해 상온에서 구리보다 100배 많은 ... ...
공룡을 보면 인간의 역사가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9
있어 초등학생에서부터 고등학생은 물론 일반인들까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 특히
물리
, 생명과학-의약학, 지구과학-기후, 생활화학의 4개 부분의 총 21개의 이슈와 함께 관련된 논술 기출 문제 주제를 담고 있어 논술 시험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의 ... ...
한국, 북극이사회 정식 옵서버 승격… ‘아라온호의 꿈’ 성큼
동아일보
l
2013.05.16
최초의 쇄빙(碎氷)연구선 아라온호가 물살을 헤치며 전진하고 있었다. 해양연구와 지구
물리
탐지 등에 필요한 60여 종의 첨단 연구장비를 탑재한 아라온호가 북극해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때였다. ‘바다(아라)의 모든(온) 곳’을 누빈다는 뜻의 아라온호가 북극해를 더욱 활발히 누비게 됐다. ... ...
거품의
물리
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몇 개의 수식으로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거품은 덧없는 존재일지 모르지만 거품의
물리
학은 영속하지 않을까.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유리 3배 강도’ 스마트폰 플라스틱 화면 개발
동아일보
l
2013.05.15
동아일보] KAIST 윤천섭 교수팀 특허출원 윤천섭 KAIST
물리
학과 교수(사진)팀은 스마트폰 화면으로 쓸 수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 화면’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유리만큼 투명하지만 가볍고 튼튼해 차세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두루 쓰일 것으로 보인다. 윤 교수팀은 유리와 플라스틱을 ... ...
연구개발 평가에 질적 지표 확대하고 창조경제 지표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3.05.14
지표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철의 기초과학학회협의체 회장(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은 “창의성이나 도전성 등 추상적인 지표에는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될 여지가 많으므로 기존의 객관적인 지표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협의체가 내놓을 세부 방안을 ... ...
깨지지 않는 휴대전화 개발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4
흠집이 잘 나고 유리에 비해 투명도가 떨어져 거의 쓰이지 않는다. 윤천섭 KAIST
물리
학과 교수팀은 스마트폰 화면으로 쓸 수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 화면’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유리만큼 투명하지만 가볍고 튼튼해 차세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두루 쓰일 걸로 보인다. 윤 교수팀은 ... ...
“기초분야 노벨상 배출” 신진과학자 발굴해 2500억 지원
동아일보
l
2013.05.14
1기 회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노벨상 수상자 배출이 목표 삼성은 이날
물리
화학 생명과학 수학 등 기초과학 지원으로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한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현재 노벨상 수상 후보군에 오른 사람보다는 신진 과학자를 지원하는 쪽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1단계 예산 7500억 원 ... ...
태양보다 100경 배 밝은 빛으로 1000조분의 1초 분자 움직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건설 현장이다. 고인수 포항가속기연구소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추진단장(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은 “길이 1100m, 높이 3m의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단층건물이 될 것”이라며 시끄러운 공사 현장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완공되면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번째 ... ...
융합을 왜 하는거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우정사업본부가 한데 어우러진 것을 대표적인 융합의 사례로 설명하기도 한다. 이렇듯
물리
적, 화학적 결합 운운하며 둘 이상의 것들을 합한 것을 융합이라고 이해하는 정도가 많았다. ‘창조경제’가 뭔지 이해시키려고 노력하는 정도만 투자하더라도 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을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