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305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일본 대지진의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
채널A
l
2013.04.25
결과 2년 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생긴 음파가 위성에 포착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구
물리
학연구지 최신호에 발표했습니다. 그간 지상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그 여파로 매우 낮은 대역의 음파가 발생하는 걸로 알려졌지만 실제로 이런 음파가 관측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동일본 대지진의 ... ...
과학과 대중, 언제까지 서로를 소 닭보듯 할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당신은 그것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상대성이론으로 빛나는 세기의
물리
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이 젊은 과학도 앞에서 던진 이 말은 지금까지도 ‘과학의 대중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또는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가장 잘 표현한 말로 꼽힌다. 사실 이 말은 ... ...
시간여행의 유혹, 실제로도 매력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가깝게도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해프닝으로 끝나기는 했지만, 지난 2011년 유럽입자
물리
연구소(CERN)가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뉴트리노)를 발견했다고 밝히며 시간여행에 대한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감이 생기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시간여행은 많은 작가들에게 상상력을 펼치기 가장 좋은 소재이기도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연구는 ‘양자도약(quantum jump)’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큐언의 소소설 속 비운의
물리
학자 알두스의 꿈이 현실이 될 날도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물론 이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프로젝트를 주도한 1976년 노벨
물리
학상 수상자인 미국 MIT의 사무엘 팅 교수는 “AMS가 궁극적으로는 양전자의 근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길어야 100년을 사는 유한성의 운명인 존재들이 100억 년이 넘는 시간과 100억 광년이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학부에서 양자역학을 배울 때 수학적 어려움보다도는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물리
적 의미를 이해할 수 없어서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때 누군가가 양자역학은 본질적으로 직관에 반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이해하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는 얘기만 해줬어도 맘 편하게 공부할 수 있지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결합이 여러 개 있다) 특히 더 좋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물리
과학의 관점에서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녹는점이 낮은데(따라서 포화지방산이 많은 소고기의 지방은 상온에서 고체이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물 기름은 액체다) 몸속에서 지방이 굳지 않아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라는 책을 번역했기 때문이다(아직 번역서가 출간되지는 않았다). 저자인 영국의
물리
학자 프랭크 클로우즈는 ‘퉁구스카 사건(Tunguska event)’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데, 언론매체에서 이번 유성체 폭발을 말할 때 ‘1908년 이래 가장 큰 폭발’이라고 표현하는 그 1908년 폭발이 바로 퉁구스카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증명하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E=mc²에 대한 진정한 일반화된 증명은 1911년 독일의
물리
학자 막스 폰 라우에가 성공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터졌을 때 마흔 살이었던 하젠욀은 징집대상이 아니었지만 자원입대를 했다. 그리고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지만 치료를 받고 회복된 뒤 다시 전장에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발견한 제임스 채드윅(1935년 노벨
물리
학상 수상)의 제자였던 폴라드는 저명한 방사선
물리
학자로 생물에 방사선을 쪼였을 때 일어나는 일을 연구하고 있었다. 우즈의 박사논문 주제도 방사선이 어떻게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키는가를 규명하는 일이었다. 1953년 박사학위를 받은 우즈는 돌연 의대로 ... ...
이전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