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대체 태양계 행성은 몇 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수금지화목토천해명’ 뒤를 이어 태양계 열 번째 행성이 올여름에 열리는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새로 인정받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2003 UB313’ 이라는 임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천체가 바로 그 후보입니다. 이 천체의 별명은 ‘제나(Xena)’ 로 신화 속의 여전사 공주(Warrior Princess)입니다. 따라 ... ...
가을철 피부 불청객 각질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하얗게 일어난다. 피부가 ‘건성’이라고 관리도 ‘건성건성~’한 건 아닌데….신경훈
연구원
은 “수분 크림은 피부에 부족한 수분을 일시적으로 공급해줄 수는 있지만 각질 세포 사이를 채워주는 유분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아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한다”며, 가을철 각질 관리를 위해 ... ...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두 사람이만났다. 수천억원 상당의 사업계약을 진행하기 위해 만났지만 007가방은 물론 계약서도 보이지 않는다. 악수도 나눴지만 명함 한 ... 편의를 배려하는 ‘똘똘한 칩’을 만드는 것이다. 현재 반도체시스템 연구실에는 박사후
연구원
1명과 박사과정 10명, 석사과정 6명의 학생이 있다 ... ...
한국형 우주식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물만 조금 타면 신선한 상태로 맛있게 먹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식품
연구원
은 카자흐스탄 아카데미 우주식품개발부서와 공동 연구 중이다.한국원자력연구소 이주운 박사팀도 CJ와 함께 우주김치를 개발하고 있다. 이 박사팀은 김치를 방사선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우주김치를 만드는데,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우주여행! 이 얼마나 듣기만 해도 흥분되고 신나는 단어인가. 녹색의 작은 행성 지구를 뒤로한 채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은하수를 휘돌아 약간의 두려움에 가슴을 조이며 블랙홀 근처에도 가보고, 초신성의 엄청난 폭발에 놀라 달아날 때 예기치 않은 웜홀 속으로 빨려 들어가 우주의 끝에 다다르 ... ...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알고 그 값을 높인다면 전기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원자핵공학과 노상우
연구원
의 설명에 학생들은 연신 고개를 끄덕였다.“ 처음에는 원하는 팀에 배정을 못 받아 아쉬웠는데, 오히려 원자핵 공학 실험을 하며 내 안에 숨어있던 무언가를 발견한 듯한 충격을 받았어요. 이제 제 꿈은 ... ...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선 #1_ ‘네시’보다 과학적인 포식성 파충류생물학자라는 직업을 속일 수는 없나 보다. 영화 ‘괴물’을 보는 동안 필자의 머릿속에는 정체불명의 괴생물체를 생물학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괴물’ 같은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영화의 첫 장면. 미군이 무단 방 ... ...
혜성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5월 중순의 밤하늘에는 작은 혜성, 슈바스만-바흐만 혜성이 하나 나타납니다. 하지만 천체망원경 없이는 볼 수 없을 정도로 흐려서 시민천문대 같은 곳에 ... 개로 갈라져서 특이한 모습을 보여 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5월에 한국천문
연구원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
꿈둘이와 함께 떠난 신난는 별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흥미로왔죠.개막식에서는‘우주신령과 그의 제자들’만화를 그리는 박석재 한국천문
연구원
장님도 직접 기타를 치며 공연을 했습니다.대전 송촌초등학교 6학년인 이정현 군은“처음 본 토성의 고리가 너무 아름답다”며“별 축제가 참 재미있다”고 말했습니다.‘어린이 과학동아’독자 여러분도 ... ...
머리카락보다 작은 미로를 탐험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작동시킨다는 사실을 김 교수가 세계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박사후 연구과정의 최정훈
연구원
은 “시냅스생성의 메커니즘은 아직도 미지의 세계가 많다”며 시냅스의 미로를 탐험하느라 더위도 잊고 있다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