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비상이 걸렸다. 한국팀은 지구에서 이미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이인호 박사와 한국천문
연구원
안상현 박사의 자문을 받고 비밀 훈련까지 거쳤다.이 박사는 2003년 스웨덴 왕립공학원의 칼 보그 박사팀이 미국 유체물리학 전문지 ‘피직스 오브 플루이드즈’에 발표한 연구결과를 한국 대표팀에 ... ...
문근영도 몰랐던 졸음 쫓기 비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한민국’을 외치며 응원할 때는 몰랐는데 경기가 끝나면 피로가 몰려온다. 체육과학
연구원
김영수 박사는 이런 경우 “꿀물을 한잔 마시라”고 권한다. 꿀물이 피로회복에 좋기 때문이다.꿀은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한 구조다. 구조로만 보면 설탕과 동일하다. 그런데 꿀의 70% 가량은 포도당과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영역만 체계적으로 촬영했다. 그는 1895년 시카고대 천문학과 교수가 됐고, 여키즈천문대
연구원
을 겸임하면서 천문학 연구에 평생을 몸담았다.바너드는 구상성단과 신성 사진을 찍었고, 1901년 수마트라섬의 개기일식 관측에 참가해 천체사진의 아름다움을 보여줬다. 1919년에는 그동안 찍은 은하수 ... ...
정겨운 우주신령과 제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우주는 몇 살일까요? 천문학자들은 우주 나이를 대략 150억 년이라고 했습니다. 불과 10여 년 전만해도 우주 나이가 100억 년이라고 생각하는 천문학자들과 200억 년이라고 생각하는 천문학자들이 으르렁대 싸웠답니다. 그래서 그냥 두 나이의 평균값 150억 년을 우주 나이라 했던 것이지요. 가장 최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해요.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직 이러한 예보센터가 없지요. 현재 한국천문
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에서는 태양 활동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우주 날씨를정확히 예보할 수 있는 우주환경예보센터를 마련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답니다. 앞으로 다가올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어우러진 옥상정원은 에너지를 절약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에서 개발한 ‘역지붕형 녹화옥상시스템’을 적용한 우리나라 최초의 건물이다.녹화옥상시스템이라고 하면 옥상에 식물을 심고 꾸민 것인데 ‘역지붕’은 무슨 뜻일까? 보통 건물의 지붕은 구조물에 ... ...
새콤달콤한 건강 가꾸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항산화물질이 알츠하이머병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프랑스 국립보건의료
연구원
라울 박사팀은 2004년 사과의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결과를 내놨고, 일본체대 나카지마 교수팀은 같은 해 사과의 폴리페놀이 내장 지방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부탁할 수도 있지 않을까.어릴 적부터 로봇을 만드는 것이 꿈이었던 박사과정 황성목
연구원
은 “미래의 로봇은 우리의 친구가 돼 줄 거예요”라며 “어느 곳에서 누가 부르는지 인식하는 로봇과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웃는 날이 머지않다”고 말한다 ... ...
2008년 4월 한국 최초의 우주인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한국 최초의 우주인 모집이 공식적으로 시작됐기 때문이다.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은 우주인을 선발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한 홈페이지(www.woojuro.or.kr)에서 인터넷으로 7월 14일까지 지원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또 지난 4월 19일에는 항우연과 러시아 연방우주청이 한국 우주인을 2008년 4월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현재 연구팀에는 최 교수와 박사후
연구원
5명을 포함해 20여명의
연구원
들이 나노 입자를 제어하는 재미에 흠뻑 빠져있다.이들의 최종 목표는 나노 입자 제어기술을 계속 발전시켜 세계적인 표준 기술로 공인받는 것. 이 분야에서는 아직 국가 간에 표준화 된 기술이 없기 ...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