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12
물질이 연료를 ‘코팅’한다. 궁극적으로 불의 확산을 막는다는 말이다.강원대 소방방재
학부
이시영 교수는 “국내에도 거품제와 지연제가 있기는 하지만 단가가 비싸 화재가 나도 충분히 사용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라며 “거품제와 지연제가 소화 시간을 2배 이상 단축시키므로 앞으로 이 약재로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12
몰려들었고 대학원실 자리배치도에서 그의 위치에 누군가 하트를 그렸는가 하면,
학부
생이 함께 쓰는 컴퓨터 배경화면에는 누군가 그의 사진을 깔아놓았다고 한다. 전파천문대에 들어서면 실험실에서 커다란 원통형 수신기와 한창 씨름하고 있는 정원 씨를 만날 수 있다. 전파망원경에서 기존 100GHz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10
훗날 우리나라를 ‘우주강국’으로 만드는 첫 걸음이라고 입을 모은다.한국항공대는
학부
생을 대상으로 캔샛을 제작하는 수업을 2003년부터 매년 개설하고 있다. 10만 화소 디지털카메라 사진을 저장하는 SD메모리, 온도와 기압을 측정하는 센서와 건전지, 그리고 송수신 장치를 캔 속에 꾹꾹 눌러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10
수식이 왜 그리 어렵던지 ‘내가 왜 전자공학을 택했나’하는 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학부
때 성적이 썩 좋지 못했죠. 그래도 디지털에 대한 강의를 들으며 전공에 재미를 느꼈고 대학원에 가서 CPU 구조를 배웠어요.”수식을 풀고 CPU 설계 이론을 배우는 것보다 회로를 직접 설계하고 싶었던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09
또 비합법적으로 입수한 유골을 연구하는 등 해부학에 숙달해졌다 37년 당시 의학의 최고
학부
인 이탈리아의 파도바 대학에 유학하여 그해 12월에는 학위를 취득하고 23세의 젊은 나이로 해부학과 외과교수로 임용되었다 칼슘과 알루미늄이 주가 된 가수(加水) 규산염광물(珪酸鹽鑛物)이다 주상(柱狀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09
제2차 세계대전 뒤 기초과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중 하나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40년 전인 1967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된 3쪽짜리 논문이다.‘경입자 모형’(A Model of Leptons)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 논문은 지금까지 약 6300회 인용됐으며, 입자물리학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08
건립하며 포스텍의 ‘소수정예 명품교육’을 좀더 강화하기로 했다.포스텍은 개교 이래
학부
입학생 정원을 300명으로 그대로 유지하며 산학이 원하는 고순도 ‘엑기스’ 인력을 배출해왔다. 박 총장은 “전체 1%에 해당하는 소수의 과학영재를 모아 세계 과학기술계를 이끌 0.1% 수준의 글로벌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08
물리화
학부
, 우주화
학부
, 질량분석·동위원소 우주
학부
및 원자핵물리
학부
의 4개 연구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세라믹스 등의 절연기판 위에 막 모양의 회로소자를 형성하여 초소형으로 구성한 전자회로 여기서 막은 기계가공으로 만들 수 없는 얇은 막을 총칭하며, 그 중에서 진공증착(眞空蒸着) ·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08
선형설계로 박사학위를 따자 현대중공업에서 스카우트를 제의했다. 이 박사는
학부
를 졸업한 뒤 방문했던 바닷가의 선박해양연구소를 떠올리며 연구소 사상 최초의 여성 연구원으로 입사했다. 물론 남성 위주의 보수적 분위기에서 사회 초년병으로 외로움과 고단함을 느껴야 했다.하지만 고생 끝에 ... ...
대한민국 이공계 쌍두마차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08
자극해 무럭무럭 자라게 한다.대한민국 이공계 대학 중에도 맞수가 있다. 매년 700명의
학부
졸업생을 배출하며 이공계‘인재양성소’라고 불리는 KAIST와 300명의‘소수정예부대’를 길러내는 포스텍이 바로 주인공. 이제부터 지상에서 펼쳐지는 KAIST와 포스텍의‘무한도전 시나리오’를 따라가보자.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