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12
정해지는 봄이면 그의 명강의에 매료된 지원자가 줄을 잇는다. 아니나 다를까 작년 ‘
학부
최우수 강의 교수상’도 수상했다. 그가 키운 제자들이 그의 뒤를 이어 어떤 과학자가 될지 기대된다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12
발육을 하지 못했고, 신경체계와 면역체계도 심각한 문제를 나타냈다.한서대 항공
학부
이원근(항공의학 전공) 교수는“우주공간에서 태어난 쥐는 지상에서 태어난 쥐에게는 없는 새로운 근섬유를 갖는다”면서 ‘만약‘스페이스 베이비’가 태어난다면 중력의 영향이 없으므로 머리는 크고, ... ...
콘크리트보다 강한 종이기둥
과학동아
l
200611
지난 6월 ‘페이퍼테이너 뮤지엄’(Papertainer Museum)의 1차 설계도가 나왔다. 종이 기둥과 컨테이너로만 이뤄진 ‘종이 박물관’. 1986년부터 종이를 건축 재료로 사용해온 세계적 ... 충실한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현재 그는 ‘시게루 반 건축설계’ 대표이자 게이오대 환경정보
학부
교수다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11
“수고했다, 코비야” - 존 매더, 조지 스무트1990년대였다. 영국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견”이라며 치켜세운 연구가 있다. 세기는 바뀌었지만 호킹 박사의 ‘예언’대로 그 연구가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영예를 안았다.처음 9 분간미국 항공우주국(NASA)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11
이제 노벨상은 세계 최고의 명예를 선사하는 상이 됐다. 그래서인지 과학자들은 점점 연구 경력의 정점에 있을 때가 아니라 비교적 나이가 들어서야 노벨상을 받는다. 이러다 보니 처음 노벨이 생각했던 것처럼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과학자가 상을 받고 이 상금이 그의 다음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 ... ...
이휘소 박사는 '팬티가 썩은 사람'
과학동아
l
200611
문제이지 과학적인 문제가 아니다”고 일갈한다. 핵무기 설계도는 1970년대 미국
학부
생의 졸업논문에 실릴 정도로 공개된 정보라고 설명했다. 만약 핵무기를 개발하려 했다면 핵무기의 원료인 ‘농축 우라늄’ 확보가 관건인데 이는 이 박사의 전공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한편 저자가 뽑은 이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10
“고전미술과 수학의 관계는 충분히 이해합니다만, 17세기 바로크시대로 들어서면 그런 고전 규범들이 모두 붕괴되는데 그래도 수학은 미술의 아름다움을 증명할 수 있습니까?”지난해 초 미술사학자 한 분이 내게 이렇게 물었다. 그가 말한 고전미술과 수학의 관계란 황금분할이나 황금분할을 인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08
유럽과 캐나다가 이를 인정한 결과다.배추의 게놈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충남대 식물자원
학부
임용표 교수는 “배추(A유전체)와 양배추(C유전체)를 합성해 유채(AC유전체)를 만들 수 있다”며 “배추의 유전체를 연구하면 양배추와 유채까지 우량한 품종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임 교수는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07
당시 벨의 후원자는 그의 장인인 가디너 허바드와 벨이 교수로 있던 보스턴대의
학부
모인 토머스 샌더스 둘 뿐이었다. 그해 세 사람은 ‘벨 전화회사’(Bell Telephone Company)를 세웠다. 그리고 사무실과 집을 연결하는 전화기 한 쌍을 세트로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그로부터 130년이 흘렀다. 요즘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07
루퍼트 쉘드레이크(Rupert Sheldrake)라는 생물학자가 있다.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생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실력 있는 과학자이지만 생물학계에서는 ‘이단’으로 취급된다. 현대 생물학의 기계론적인 세계관을 거부하고 생명 현상을 ‘살아있는 자연’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현대 생명공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