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d라이브러리
"
선임
"(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상을 촬영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위성 개발에 참여한 신재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
연구원이 직접 아리랑5호를 소개한다.‘다목적실용위성5호’는 전파로 사진을 찍는 우리나라 최초의 영상레이더 위성이다. ‘아리랑5호’로도 부르는 이 위성은 우리나라의 4번째 저궤도위성이다.위성은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거대한 구조를 설치하는 일은 한국 기업의 뛰어난 해양토목 기술 없이는 불가능하다. 민
선임
연구원은 “해외에서는 이렇게 먼 바다에 관측 기지를 세우는 일이 거의 없다”며 “한국은 IT기술도 좋아서 원격 운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하지만 뛰어난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독도에 해양기지를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한스 라우싱 석좌교수로 부임했는데 과학사·과학철학과 소속 10명의 교수 중
선임
자리이다.“과학사나 과학철학이 일반 사람들과 무슨 관계가 있냐고 묻는 사람들이 많아요. 과학사나 과학철학을 배우면 과학을 훨씬 재미있고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과학적인 개념이 왜 생겼는지도 모르고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발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이승학 한국과학기술 연구원(KIST) 물환경센터
선임
연구원은 “지금까지 침출수라고 보고된 액체는 침출수가 아니라 핏물이나 내분비액 등 원래 가축의 몸 안에 있던 액체일 가능성이 크다”며 “아직 본격적인 부패와 이에 따른 사체 분해는 일어나지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소행성의 흔적도 1990년대 에 발견된 것만 172 곳이 넘어요"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선임
연구원)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한다면?휴~,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이 비켜갔다니 천만다행이군! 요원, 그런데 만약 충돌했다면 지구에 어느 정도 타격을 줄 수 있는가?지구에 미치는 피해는 충격에너지가 클수록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견디는 구조물은 없다”고 말했다.이에 대한 해결책은 없을까. 강상훈 항공우주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연료를 벽면 내부에 흘리는 ‘재생냉각법’으로 엔진 내부를 보호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고, 수소 대신 탄화수소(HC) 계열의 연료를 써서 비행 시간을 늘리는 방법도 연구 중”이라고 대답했다.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담담해 하는 눈치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3차 실험 결과를 발표한 권면 국가핵융합연구소
선임
단장은 “이미 상전도 자석을 이용한 융합로에서 여러 번 확인된 사실을 초전도 자석을 통해서도 구현했을 뿐, 큰 의미는 두지 않는다”며 “그보다는 KSTAR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단계를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개발된 소파블록 (테트라포드) 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했다. 연구를 이끈 오상호
선임
연구원은 “새롭게 개발한 소파블록을 현장에 설치할 때 수조 실험 결과가 기초적인 설계 자료로 활용된다”며 “방파제를 비롯해 조력발전용 수문 같은 각종 해안구조물을 설계할 때도 수조 실험을 항상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방안 1 ‘멀티 뇌’를 가진 컴퓨터를 만들어라 - 멀티코어 인텔, 에이엠디(AMD)와 같은 세계적인 프로세서 생산 업체들이 선택한 대안은 클럭을 높이는 대신 ‘뇌’를 늘리는 것이다. 입출력 및 연산을 처리하는 ‘뇌’, 즉 코어의 수를 늘렸다. 이렇게 하나의 칩 안에 두 개 이상의 코어를 집적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