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d라이브러리
"
선임
"(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잠깐만 기다려 봐! 지금 전파를 수신하는 중이거든. 오늘이 며칠이더라…. 아! 오늘은 2020년 9월 30일, 우리나라의 가장 큰 명절인 추석 연휴 첫날이네. 그렇다면 이 글을 읽는‘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은 친척들을 만나러 가는 길이 겠구나!인사가 늦었어. 내 이름은 스마트-R. 똑똑하다는 뜻의‘스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생생 우주 실험보고서’는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이소연
선임
연구원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3만6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 최초 우주인으로 선발돼 2008년 4월 8일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을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세자에게 알렸고, 중번과 하번은 의정부와 관상감의 두 제조에게 고하는 한편 관상감의
선임
관원에게도 보고하게 했다.천문 관측뿐 아니라 역서를 만드는 일도 관상감의 주요업무였다. 동양의 역법은 단순히 달력을 만드는 일이 아니었다. 그해에 일어날 일식과 월식을 미리 계산해 국민들에게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받았다.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
연구원을 거쳐 올해 상명대에 부임했다. 2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죽거나 난폭해지거나어느 날 전 세계의 생존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등장한다. 이 바이러스는 발견된 지 며칠 만에 지구의 수많은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 일본 이화학연구소 표면화학연구실에 입사한 뒤 현재
선임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도 참고 기다려주는 일본 연구풍토가 부럽다고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러시아나 미국에 뒤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 우리나라가 자랑스러웠다.이소연
선임
연구원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3만6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 최초 우주인으로 선발돼 2008년 4월 8일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방문했다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2020년 10월 1일 9시 뉴습니다. 첫 소식입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다양한 나노무기가 그간 영토와 에너지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주변국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오늘 정부 대변인이 밝혔습니다. 우리 군은 입는 컴퓨터, 카멜레온 위장복, 가상현실 방식의 통합헬멧,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현상*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패턴이 겹쳐질 때 빛의 간섭무늬가 나타나는 현상.이소연
선임
연구원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3만6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최초우주인으로 선발돼 2008년 4월 8일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을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부우우~”펄럭이는 태극기를 매단 한척의 쇄빙선이 바다 위에 얼어있는 해빙을 깨뜨리며 북극점을 향해 전진한다.“빠지직~ 빠지직~” 쇄빙선이 엄청난 힘으로 얼음을 밀어붙여 얼음들이 쉴 새 없이 갈라진다. 선내 수족관에는 과학자들이 항해 중 연구용 샘플로 채취한 바다생물들이 분주하게 ... ...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EU는 2020년까지 바이오연료 사용비율을 수송부문에서 최소 1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강
선임
연구원은 “바이오연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며 “해양조류 바이오연료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해양조류 재배면적을 확보하고 투자를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