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지
중절
정지
종결
미결
인터럽트
방해
d라이브러리
"
중단
"(으)로 총 91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밝히기 지극히 어렵다.그런데 1965년 마지막 논문이 나온 후 북한에서는 갑자기 연구가
중단
됐고, 그후 오랜 시간 동안 봉한학설이 재현되지 않았다.때문에 봉한학설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지만 그 진위가 밝혀지지 않은 채 40여년 가까이 잊혀져 왔다.봉환관 찾기의 새로운 시도서울대 물리학부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묵직함에 있다.물론 그 동안엔 우여곡절도 많았다. 그는 석사학위까지 마친 전산과학을
중단
하고 전공을 바꿔 프랑스로 유학을 갔다. 또 창업을 위해 박사학위를 포기하고 귀국하기도 했다. 변화와 도전이 포함된 복잡한 여정이었지만 그가 시작한 인터넷 사업은 IMF경제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외길을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것으로 전망된다.산업체에 예고된 정전이라면 비상 전력을 가동하거나, 최소한 공정을
중단
해 제품생산이 줄어드는 정도의 피해에 그친다. 그러나 예고치 않은 정전은 전혀 대비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해가 크다. 예를 들어 포항제철에 갑자기 정전이 발생하면 용광로가 식어버릴 수 있다. 일단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가장 가까운 부석면 도비산에 절을 짓기 시작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심한 반대로
중단
될 위기에 처했다. 그러자 갑자기 하늘에서 천둥번개가 일고 검은 거암이 공중에 둥둥 떠돌며 “절 짓는 일을 방해하면 재앙을 내리겠다”고 위협했다. 그후 부석사가 완공되자 공중에 떠돌던 거암이 부석사가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1조5천억원에 이른다.새만금 사업에 찬성하는 측에서는 사업이 상당히 진행된 상황에서
중단
은 오히려 환경이 파괴될 수 있다고 말한다. 새만금을 막아 만들어지는 담수호가 오염된다는 우려는 저감시설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새만금 사업을 통해 마련된 토지자원이 농지나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하는 많은 결과물과 자료가 함께 분실되고 말았다. 당분간 우주왕복선 계획은
중단
되겠지만 무중력 상태에서의 실험은 예측되는 많은 유용한 결과 때문이라도 계속될 것이다.무중력 상태라는 환경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상에서는 도저히 만들어낼 수 없는 특수한 환경이다. 그러므로 이 곳에서는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저온보존 기술로 생명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
시킨다. 저온보존으로 겨냥하는 대표적인 미래기술은 인공동면과 냉동보존이다.겨울잠 자며 우주여행한다먼저 인공동면의 경우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따라 스스로 체온을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잘록한 결절 1878년 프랑스의 해부학자 L A 랑비에가 발견했다이 결절은 수초가 이곳에서
중단
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신경섬유가 가지를 낼 때는 반드시 이 결절에서 가지가 나온다 브라운 운동을 확률과정으로 기술하는 미분방정식 물속의 미립자는 물분자와 층돌하여 불규칙한 운동을 한다그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하지만 박 교수가 1990년대 들어 논문을 상당히 많이 쓸 수 있었던 까닭은 대외활동의
중단
때문이다. 1990년대 초까지 그는 수학과, 수학회, 교수협의회 등에서 주요 자리를 역임했다.하지만 첫 손녀의 탄생이 그를 안으로 끌어들였다. 주말이면 손녀를 보는 재미에 중요한 일 외에는 약속을 잡지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중첩되는 분쟁 수역이어서 중국도 그동안 두 차례 기지 건설
중단
을 요구했다.이어도는 마라도에서 1백49km 거리. 중국과 일본의 가장 먼 무인도인 뚱따오(童島)와 도리시마(鳥島)에서는 각각 2백47km와 2백76km 떨어져 한국에 훨씬 가깝다. 따라서 앞으로 한·중·일 협상을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