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지
중절
정지
종결
미결
인터럽트
방해
d라이브러리
"
중단
"(으)로 총 91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름으로 얼룩지는 바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국적 원유선인 시프린스호는 A급 태풍 페이의 내습 예보에 따라 안전을 위해 하역을
중단
하고 원유잔량 8만3천t을 적재한 채 피항했다. 그러나 피항 도중 강풍과 높은 파도에 떠밀려 여수 오동도 남서쪽에 위치한 작도에 충돌했다. 이 배는 또다시 강한 풍랑에 떠밀려 작도 서쪽에 위치한 소리도에서 ... ...
컬럼비아호 참사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미국 우주비행사 2명과 러시아 우주비행사 1명이 거주하고 있다. 우주왕복선 비행
중단
으로 3월로 계획된 우주정거장 승무원 교체도 힘들게 됐다. 우주정거장에는 러시아의 지구귀환용 우주선 소유즈가 있지만, 소유즈 우주선은 승무원을 지구로 귀환시키는 용도일 뿐이다.현재의 승무원들이 모두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대한 유전자치료도 포함돼 있다고만 밝혔다.그러나 한편에서는 유전자치료의 전면적인
중단
이 환자의 죽음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반론을 제기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혼합면역결핍증의 경우 유전자치료의 성공률은 90%지만, 골수 이식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치료를 받지 않으면 1년 이내에 사망할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초속 7km까지 도달하는 소형탄두의 발사시험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 역시 정부의 지원이
중단
되면서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이에 헌터 박사는 1996년 독자적으로 ‘쥘 베른 발사체 회사’를 설립하고 우주대포를 연구했다. 헌터 박사는 우주대포를 알래스카의 산 속에 설치하고 약 3천3백kg의 ... ...
코르크 마개 퇴출은 생태계 적신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마개를 나사마개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세계야생동물기금(WWF)이 코르크재배가
중단
되면 생산지인 지중해 연안의 많은 지역이 환경 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것입니다.WWF에 따르면 코르크재배는 100% 환경친화적이며 숲에 서식하는 생물에 어떤 해도 미치지 않습니다. 코르크가 ... ...
벽 뚫고 지나가는 공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모험이는 미래의 일을 언급해서는 안된다는 시간여행의 규칙을 어길 뻔해서 급히 말을
중단
했다.뉴턴 : 학생! 학생의 말은 그러니까 이 상자 안의 공이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단 말인가?모험이 : 예.뉴턴 : 그럼, 이를 증명할 수 있나?이 순간 모험이는 입을 다물었다. 이때 슬기가슬기 : 뉴턴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잘록한 결절 1878년 프랑스의 해부학자 L A 랑비에가 발견했다이 결절은 수초가 이곳에서
중단
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신경섬유가 가지를 낼 때는 반드시 이 결절에서 가지가 나온다 브라운 운동을 확률과정으로 기술하는 미분방정식 물속의 미립자는 물분자와 층돌하여 불규칙한 운동을 한다그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사이언스의 출판은
중단
됐다.이후 당시 미국에서 유명한 곤충학자였던 스커더에 의해,
중단
된지 1년만인 1883년 2월 사이언스는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과학자 사회의 소식을 전하는 일을 사이언스의 중요한 목적이라고 생각했고, 이러한 목적이 어느 정도 성공해 1년 사이에 2천명 이상의 ... ...
2. 미완성으로 막 내린 세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적절히 대처하고 있다”고 발언해 청중들로부터 심한 야유를 받아 연설이 잠시
중단
되기도 했다.이번 정상회담은 지구온난화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계획들이 합의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채택된 이행 계획서를 바탕으로 미래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 ...
태양계 탄생 비밀 간직한 화석 혜성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3일 후에는 베가 2호가 8천30km까지 접근, 사진을 보내온 후 먼지에 부딪쳐 작동이
중단
됐다. 이들 탐사선이 접근하는 동안 옛소련의 관제센터에는 미국인 프레드 휘플이 자신의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 관람석에 앉아 있었다. 하지만 보내온 사진들은 뿌연 상태였다.휘플의 이론을 단번에 확인시켜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