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에너지밀도"(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03
- 우주엔 외계 문명이 몇 개 있을까. 이 질문이 어렵다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은 몇 개 있을까. 최근까지 생명체가 거주 가능한 ‘골디락스’ 행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우리은하 안에서만 이뤄졌다. 그런데 지난해 중반부터 우주 전체에 걸쳐 골디락스 행성의 분포를 연구한 논문이 나타나기 ... ...
- 자동차와 비행기의 심장, ‘엔진’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0.01
- 섭섭박사님이 이번엔 자동차와 비행기 엔진 모형을 들고 오셨어요. 10명의 친구들이 50종류가 넘는 부품을 하나하나 조립하며 엔진이 어떤 일을 하는지 배웠답니다. 섭섭박사님과 함께 자동차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알아볼까요? 서동준, 정한길 제공 ● 실험 속 비밀! 자동차 엔진으로 에너지를 바 ... ...
- ‘부르르’ 눈떨림이 지속된다면 이것만은 꼭!2016.09.26
- GIB 제공 ‘스트레스’와 ‘현대인’은 뗄레야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 이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누적된 스트레스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치게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신체 질환까지 유발한다. 어느 날 갑자기 한쪽 눈 밑이 파르르 떨린다면? 자신의 의지와 상관 ... ...
- 우주판 ‘냉정과 열정 사이’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08.01
- 은하의 ‘색’에 주목한 적 있는가. 우주에는 우리은하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은하들의 색깔은 대부분 빨간색 혹은 파란색이다. 별은 표면온도에 따라 빨간색, 노란색, 흰색, 초록색, 파란색 등 색이 다양한데, 왜 이들을 품은 은하는 유독 두 가지 색깔로 보이 ... ...
- 스마트폰 터치 패널 더 싸고 더 얇게... 희토류 대신 구리 사용2016.07.25
- 금오공대·KAIST 공동연구진은 구리 나노입자에 흡수율이 낮은 레이저를 쪼아 원하는 부분만 가공하는 방식으로 터치패널을 만들었다고 25일 밝혔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미세한 구리선으로 스마트폰 화면 입력장치(터치패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값비싼 희토류를 사용하던 기존 ... ...
- [시승기]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 진짜 출퇴근용 전기차포커스뉴스 l2016.07.25
- 아이오닉 일렉트릭 - 현대차, 포커스뉴스 제공 정부가 최근 전기차 보급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전기차의 구매 부담 완화를 위해 구매보조금이 1200만원에서 1400만원으로 즉시 상향되며, 전국 공영주차장 주차료 50% 할인이 의무화된다. 또한 주행거리 향상의 가장 큰 관건인 리튬이온전지의 에너 ... ...
- 북한 핵무기 진짜일까 가짜일까… X선은 알고 있다2016.07.22
- 미국 와잉오밍 주 샤이엔에 위치한 워런 공군기지의 미사일 탄두 보관소. 스콧 켐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핵탄두에 X선을 쏘아 진위 여부를 가려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사이언스 제공 북한은 막강한 핵전력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진위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북한은 지금까 ... ...
-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수소 저장”2016.07.13
- 손준우 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신소재. 백금 나노입자와 결합시킨 터널 격자 구조의 바나디움 산화물(VO2) 박막에 수소가 단위 격자당 2개씩 달라 붙을 수 있다. - 네이처 머티리얼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청정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수소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 ...
- 뇌 신경망 그대로 모방한 인공 시냅스 소자 나왔다2016.06.18
- 이태우 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인간 뇌의 신경망 기능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 이태우 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유기 나노섬유를 이용해 두뇌 신경망처럼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면서도 기능은 그대로 구현한 소자를 만들었다고 17일 밝혔다. ...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6.06.12
-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오랫동안 우주론을 연구해온 그는 최근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진 블랙홀에서도 빠져나갈 구멍이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 flickr 제공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진 블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