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흔히 ‘가속기’라고 하면 ‘힉스 입자’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가장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가속기의 종류와 활용처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최근 한국이 만들고 있는 중이온가속기는 ‘펨토 과학’의 문을 연다는 측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남윤중 ... ...
경이로운 오로라, 형성 과정 첫 관측
2016.05.13
‘자기 재결합’ 과정의 모식도. 파란색 선이 자기력선을 의미한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우주에서 오로라가 형성되는 과정이 최초로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3월 발사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Sclase·MMS)’ 위성의 첫 탐사 결과를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 ... ...
차세대 ‘자성 메모리’ 개발 실마리 찾았다
2016.04.25
문경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팀이 고안한 자성 메모리 소자의 개념도. 교류 자기장을 이용해 자화 상태인 ‘스커미온’을 움직여 정보를 이동시킨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정보가 저장돼 있는 컴퓨터 하드디스크는 회전하면서 정보를 불러오거나 읽고 쓰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 ...
우리은하 40분의 1 크기 ‘미니타원은하’에도 블랙홀 존재
2016.04.19
미니타원은하(SDSS J085431.18+173730.5·왼쪽)의 중심에서 발견된 강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활동성 은하핵(오른쪽).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질량이 큰 거대은하에서만 발견되던 ‘활동성 은하핵’ 현상을 우리은하보다 질량이 작은 은하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 김민진 한국천문연구원 ... ...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4.04
과학의 진보는 우주의 난제를 푸는 과정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가령 ‘태양 에너지가 어떻게 진공인 우주 공간을 지나 지구까지 전달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어떤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명 에테르 가설이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에테르가 ... ...
후쿠시마 원전 사고 5년, 그곳은 안전할까
2016.03.06
사이언스 제공 2011년 3월 11일. 일본 북동쪽 해안가에 리히터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파고 40m가 넘는 쓰나미가 일본 도호쿠(東北) 일대를 덮치며 1만5893명이 사망했고, 2572명이 실종됐다. 가장 큰 문제는 쓰나미의 여파로 일어난 후쿠시마(福島) 원전사고였다. 5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을 비 ... ...
“지층 밀도 높을수록 지진 규모 커”
2016.03.03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원전 폭발 모습. - 플리커(deedaveeeasyflow) 제공 2011년 3월 일본을 강타한 대지진은 리히터 규모 9를 기록하며 큰 피해를 남겼다. 최근 이처럼 큰 규모의 지진은 상부 지층의 상태와 관련이 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부 지층을 이루는 암석의 밀도가 높을수록 지진 ... ...
우주체류 기록은 러시아가 선두, 최장 기록 879일
2016.03.01
미국 우주인 스콧 켈리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무르던 당시 촬영한 사진.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미국 우주인 역사상 최장 기간 우주 공간에 머무른 우주인 스콧 켈리가 1일 총 340일의 우주 생활을 마치고 지구에 귀환했다. 1년 가까운 시간을 우주에서 보내고 돌아온 셈이다. 켈리가 귀 ... ...
[R&D가 희망이다]친환경차-스마트카 등 4년간 13조3000억 투자 미래형 자동차 개발
동아일보
l
2016.02.29
[동아일보]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올해 시무식에서 급변하는 대외 환경 속에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대폭 확대해 자동차산업의 기술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친환경차와 스마트카 등 미래형 자동차를 개발하고 파워 ... ...
역대 최고 용량 리튬이차전지 개발
2016.02.16
조용훈 강원대 교수팀이 개발한 다공성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의 모식도. - 사이언티픽리포트 제공 스마트폰이나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차전지의 용량을 2배로 늘리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조용훈 강원대 교수팀은 기존 리튬이차전지보다 전기용량이 2배 큰 고용량 리튬이차전지를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