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압"(으)로 총 5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쏴~ 샤워기 물이 전기로 바뀌네과학동아 l2014.04.28
- 측정한 결과, 물 한 방울인 40μL(마이크로리터·1μL=10-6L)가 흘러내릴 때 최대 0.42 mW(전압은 6V, 전류는 70μA)의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D 한 개 정도를 밝힐 수 있는 수준이다. 권 연구원은 “창문, 지붕 등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이나 가정에서 버려지는 생활용수에서도 전력을 ...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과학동아 l2014.04.23
- 화학적 처리를 거쳐 산소 대부분을 제거했기 때문에 저항이 낮아 다른 물질처럼 초기에 전압을 흘려서 저항을 변화시키는 ‘포밍’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포밍 과정에서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또 소자 한 개에 00, 01, 10, 11 등 총 4가지 형태로 ...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②과학동아 l2014.04.16
- 극복하고 있다. 최근 그래핀 조각과 폴리머 조각의 마찰을 이용해 30볼트(V) 이상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데 성공한 것. 이 연구 결과를 지난달 28일 소재 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발표했다. 전하를 얻기 쉬운 물질과 잃기 쉬운 물질을 마찰시키면 전하 이동이 발생하면서 전류가 ... ...
- 차세대 메모리 소자 '얇게 더 얇게'과학동아 l2014.04.08
- 다층박막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활용 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2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저항 상태가 바뀌는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확인한 것이다. 구동 속도도 매우 빨랐으며 박막의 층수를 조절하면 메모리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나노미터 ... ...
- 원자 속 ‘전자’ 샅샅이 보는 토종 ‘눈’과학동아 l2014.04.02
- 열을 이용해 영상을 촬영했다. 촬영하려는 물질의 한쪽에 열을 가해 두 물질의 온도차로 전압이 발생하는 ‘제벡효과’라는 물리현상을 활용해 정밀 영상 촬영에 성공했다. 또 연구팀은 원자수준 제벡효과로부터 전자구름이 관측되는 이론적 원리를 양자역학에 기초해 규명하고, 컴퓨터 ... ...
- 3D ‘나노’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4.03.27
- 연구진은 ‘주사기’에 고분자 용액을 담고 180nm 굵기의 주사기 바늘로 내보내면서 고전압을 걸어줬더니 ‘나노 실’이 일정하게 분사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때 주사기를 수평으로 움직이자 나노 실을 길게 뽑을 수 있었는데, 좌우로 왕복하면서 실을 한 층씩 쌓아올림으로써 0.02mm 두께의 ... ...
- 소리로 스마트폰 충전한다고?과학동아 l2014.03.25
- 수 있는 결과치다. 김 교수는 “소리 진동을 이용한 마찰전기 생성은 현재 전압은 충분하지만 전류가 수십 밀리암페어(mA)에 그쳐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그러나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마이크로암페어(μA) 수준이었던 만큼 꾸준한 연구와 소자 개발로 금세 상용화할 수 있을 ... ...
- 그래핀 '스스로' 쑥쑥 큰다고?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성장시킨 그래핀을 기존 방식으로 얻은 그래핀과 비교해본 결과,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압으로도 밝은 빛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천 교수는 “구리판을 이용한 그래핀 공정은 손이 많이 가는 번거로운 작업”이라며 “플라즈마를 이용하면 LED 기판뿐 아니라 다른 여러 기판에도 ... ...
- 치료용 동위원소 생산할 중형 입자가속기 국내 첫 가동동아사이언스 l2014.01.28
- 분야는 물론 응용과학 연구에 입자가속기의 양성자 빔을 이용할 수 있다. RFT-30은 고전압·고주파 전극을 사용해 수소 음이온을 나선형 궤적으로 가속한 뒤 얇은 탄소 포일을 통과시켜 전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양성자(수소 양이온)를 만드는 기기로, 1.5V 건전지 2000만 개에 해당하는 에너지인 3 ... ...
-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저전력 트랜지스터동아사이언스 l2014.01.27
- 의미하는데, 고분자 브러쉬 처리로 전하가 트랩 없이 쉽게 이동하게 되면서 아주 적은 전압으로도 구동이 가능한 트랜지스터가 실현된 것이다. 양회창 교수는 “이전까지 절연층 표면처리는 아주 작은 분자를 화학적으로 표면에 일일이 붙여나가는 형태라 경제적이지 못했는데, 이번에 개발한 ... ...
이전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