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이름은 ‘봉우리’, 내 임무는 센서~
2015.01.08
기존 단백질 센서는 둘 중 빛을 발하는 도메인을 변형시켜 만들었지만 봉우리 센서는
전압
을 감지하는 도메인에 돌연변이를 준 것이다. 신경세포에서 봉우리의 성능을 직접 측정한 결과 8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만에 신경세포의 활동전위를 기록했다. 40ms가 걸리는 기존 센서보다 5배 빠른 ... ...
‘표준硏 명장’에 이상화·임인태 책임연구기술원 선정
2015.01.07
책임연구기술원은 전기자기 분야에 종사하면서 높은 측정 능력을 바탕으로 직류고
전압
국가표준기의 성능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킨 공을 인정받았다. 진공기술센터 임인태 책임연구기술원은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 웨이퍼 및 진공소재 등을 평가하기 위한 탈기체 시험 장치를 주도적으로 ... ...
[과학기자의 문화 산책] 정전기 무서워 커피 못마신다구요?
2015.01.04
쌓여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전기는 이런 전자가 갑자기 흐르면서 생기는 충격으로
전압
이 1000~3000V 정도가 되는 경우 따끔한 느낌을 들게 한다. 주 교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성인 중 20% 정도가 정전기로 인한 불편을 겪는다. iStockphoto 제공 그렇다면 몸속 수분량이 낮은 사람에겐 ... ...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0.5와트(W)에 불과했던 출력을 1.3W/㎠로 높였으며, 500시간 이상 안전성 평가를 거친 결과
전압
이나 전류가 낮아지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가스관을 타고 들어오는 천연가스로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아파트 단지마다 설치하면 전기료를 줄이는 것은 물론 ... ...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기술로 극~복~
2014.12.22
디스플레이’로 불리며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조명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높은
전압
을 걸어주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어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배완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이도창 KAIST 교수, 이창희 서울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양자점 발광소자의 안정성을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추진하는 창의과제 중 하나로 3년째 이 같은 투명 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경 센터장은 “
전압
으로 렌즈 두께를 조절하는 원천 기술 개발은 거의 끝났다”면서 “렌즈 변형에 걸리는 시간이 1000분의 1초 정도로 매우 빠른 편”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변신렌즈에 이어 최근 주목하는 아이템은 ... ...
600V 강력한 전기 파워, 뱀장어의 사냥법
2014.12.07
설명했다. 한편 연구팀은 전기뱀장어가 주위를 탐색할 때는 사냥할 때와 달리 낮은
전압
의 전기를 발생시킨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네이처 제공 앞서 뱀장어의 사냥 법을 밝힌 데 큰 역할을 한 실험기기는 초고속 카메라다. 초고속 카메라의 발달로 이제 달리는 말의 모습도 생생히 찍을 수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거대전극효과’가 발생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바깥에서
전압
을 걸지 않아도 스스로 양극과 음극으로 나눠지는 전기적 분극 현상이 일어나는 물질로,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해서 분극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데 전기장이 사라져도 분극의 방향을 그대로 보존한다는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기록했다. 이번에 개발한 태양전지는
전압
이 2.4V로 높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 정도의
전압
이면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수도 있다. 김 연구원은 “탠덤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 접합 태양전지 분야에서 발전한 사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탠덤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구속 효과 등 다양한 양자역학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퀀텀닷은 별도 광원 없이
전압
을 가하기만 하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재료로 주목받게 됐다. 이창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퀀텀닷은 재료 조성을 바꾸지 않고 결정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