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거대전극효과’가 발생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바깥에서
전압
을 걸지 않아도 스스로 양극과 음극으로 나눠지는 전기적 분극 현상이 일어나는 물질로,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해서 분극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데 전기장이 사라져도 분극의 방향을 그대로 보존한다는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기록했다. 이번에 개발한 태양전지는
전압
이 2.4V로 높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 정도의
전압
이면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수도 있다. 김 연구원은 “탠덤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 접합 태양전지 분야에서 발전한 사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탠덤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구속 효과 등 다양한 양자역학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퀀텀닷은 별도 광원 없이
전압
을 가하기만 하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재료로 주목받게 됐다. 이창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퀀텀닷은 재료 조성을 바꾸지 않고 결정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 ...
반도체로 쓸 수 있는 그래핀 나노리본 세계 최초 개발
2014.10.30
폭 2~1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짜리 나노리본을 세계 최초로 제작했다. 미세 탐침으로
전압
을 가해 그래핀을 잘게 잘라낸 것이다. 이 그래핀 나노리본은 반도체의 특성을 지녀 소자로도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폭 7~8nm에 테두리가 지그재그형인 나노리본에서는 반도체에서 금속으로 ... ...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나노입자 구조를 촘촘한 삼각형으로 바꾸면 LED 소자의 효율이 늘어나고, 동작
전압
및 온도가 감소해 수명이 2배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구조를 변경하자 LED 내부에서 전자사이의 거리가 최소로 줄어들어 효율이 높아진 것이다. 연구진은 신호등에 질화갈륨은 물론 자동차 전기장치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차이가 존재하는데, 리튬 가시가 자라서 구리막에 닿으면
전압
차가 사라진다. 연구진은
전압
차가 0이 되는 순간 신호를 보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메시지를 띄우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 구리막과 음극 사이의 저항을 측정해서 리튬 가시가 구리막의 어느 부위를 찔렀는지도 알아낼 수 있었다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가벼우면서도 적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센서(PMT)에 비해 사용
전압
도 100분의 1로 줄였다. 수입에 의존하던 기존 센서들은 진공관 방식이어서 크고 무겁다. 다양한 의료용 영상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산업용 측정 센서로도 유용할 전망이다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제공 실제로 시속 54㎞의 바람에 노출시켰더니 폭 5cm, 길이 7.5cm의 작은 띠에서 200V
전압
의 0.06mA(밀리암페어)의 전기가 생산됐다. 이런 띠를 200개 설치하면 스마트폰을 한 시간 안에 충전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프로펠러나 발전기 없이도 바람을 이용해 손쉽게 전기를 만들 ... ...
차세대 로켓 엔진 승자는?
2014.08.22
얻는 추진력으로 우주선을 움직이는데, 주로 제논 가스를 연료로 사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
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한 뒤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내뿜는다. 한조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온엔진은 양이온을 광속에 가깝게 내뿜기 때문에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동물의 몸속에 넣어두면 미세한 움직임을 전기로 바꿔 8.2V
전압
과 0.22mA의 전류를 생성하는 스마트 센서인 초소형 나노발전기를 최근 개발했다. 이 발전기를 심장박동 보조기에 연결하면 배터리가 떨어져 몇 년마다 재수술을 받아야 했던 기존 장비의 불편함이 해소될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