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TV’ 언제 나오나
2015.06.16
천연색을 무리없이 표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명호 연구원은 “수 볼트(V)의
전압
만으로 그래핀 전자의 온도는 태양표면 온도의 절반 수준까지 올라가 매우 밝은 빛을 낸다”면서 “그래핀은 쉽게 휘고 크기도 작아 고성능 디스플레이 개발에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자외선만 내뿜는 양자점 LED 나왔다
2015.06.01
자외선 발광 소자에 비해 출력도 수십~수백 배 낮을 뿐 아니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압
도 매우 낮았다. 377nm는 자연 상태의 자외선 파장으로 살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 자외선은 형광작용이 있어 위조지폐 검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차국헌 교수는 “제작 방법이 비교적 ... ...
차세대 반도체 상용화 성큼… 신호 손실 없는 ‘스핀전자소자’ 개발
2015.05.28
그러나 전자의 스핀은 제어하기 어려워 상용화 수준에 도달하기 어려웠다. 스핀 정보를
전압
으로 제어하고 전기신호로 바꿔야 하지만, 스핀 정보가 전기신호로 바뀌는 과정에서 전자 간 충돌이 발생해 신호 손실이 발생했다. 연구진은 전자 충돌 전에 원하는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를 외부에서 ... ...
얇고 잘 늘어나는데 아이폰6보다 7배 더 선명
2015.05.14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
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 연구팀은 초박막필름에 양자점 나노입자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음각 전사-인쇄 기술’을 개발해 디스플레이 제작에 적용했다. 기존에도 비슷한 기술이 ... ...
분필가루 날리는 칠판은 옛말, ‘자성칠판’ 상용화 임박
2015.04.22
개발했다. 칠판에 글씨를 쓰는 것과 유사한 필기감도 장점이다. 또 자성칠판 전체에
전압
을 걸면 필기한 내용이 한번에 사라지기 때문에 다음 수업을 준비하기도 쉽다. 연구팀이 만든 자성칠판은 자석펜을 이용해 실제로 필기하듯 칠판에 글씨를 쓸 수 있다. - 도쿄대 제공 이렇게 ... ...
늘어났다 줄어들며 전기 만드는 ‘스타킹 전자소재’
2015.04.15
만든 것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고탄성 나노자가발전기는 최대 3배까지 늘어나면서 4V의
전압
을 발생시킨다. 이는 지름 5mm가량의 발광다이오드(LED)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또 이 나노자가발전기는 100회 이상 잡아당겨도 망가지지 않고 전기적인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 ... ...
미래형 배터리 전기흐름 원리 찾았다
2015.04.15
원리를 이용하면 낮은
전압
에서 높은 전류량을 얻을 수 있으며 액체 의존도가 낮아져
전압
이 한결 안정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배터리나 전기를 소모하는 담수화 장치 등의 전기적 효율을 크게 향상 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 ...
‘꿈의 물질’ 2개 합쳤더니 고효율 광센서가 ‘뙇’!
2015.04.14
짧은 파장의 빛에도 반응하는 향상된 광센서를 개발했다. 특히 광센서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을 기존 대비 50% 이하로 낮춰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그래핀의 특성을 살려 유연하면서도 투명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는 꿈의 신소재인 그래핀과 실리콘 양자점으로 융합구조를 만들어 ... ...
단 1분 만에 충전, ‘꿈의 배터리’ 나온다
2015.04.07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만들었다. 기존 알루미늄 전지는 충·방전을 100번 거치면
전압
이 떨어졌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전지는 7500번 충·방전 후에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루미늄 전지가 1000번 이상의 충전을 버틴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 전지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걸리는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맞먹는다. LBTS에서는 추진전동기의 출력을 서서히 끌어올리는 실험이 진행 중이었다.
전압
을 높였을 때 전동기가 프로펠러를 충분히 빨리 돌릴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육상에서, 그것도 프로펠러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을까. “발전기를 이용하면 가능하죠.”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