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회전 중에도OK… 경유차,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2016.06.10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스마 연소장치를 개발했다. 대부분의 자동차가 사용하는 12V
전압
에서 작동하며, 음료수 캔 크기여서 차에 쉽게 달 수 있다. 연구팀은 최근 일반 차량에 이 장치를 달고 6만 ㎞ 도로주행 시험을 마쳤다. 송 실장은 “하반기에 환경부 인증을 마치면 바로 상용화할 수 있을 ... ...
차세대 이차전지 효율 획기적으로 높였다
2016.05.24
개발된 ‘DMPZ’라는 액체 촉매를 리튬-공기 전지에 적용할 경우 충전 시에 걸어줘야 하는
전압
을 3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강 교수는 “그간 걸림돌이 되던 충전 문제를 해결해 리튬-공기 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 ...
손가락만 구부려도 200V 전기가 반짝
2016.05.17
이렇게 만든 압전소자는 손가락에 붙이고 구부리는 동작만으로도 200V의 높은
전압
을 생성했다. 전기량은 35마이크로암페어(μA) 정도로 적지만 발광다이오드(LED) 200개를 순간적으로 점등하거나 무선통신 칩을 작동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이 저가의 소재와 공정기술을 ... ...
물에서 수소에너지 값싸게 얻는 태양광 기술 개발
2016.04.19
H2O)을 수소(H2)로 바꾼다. 연구진이 제작한 기기는 기존에 사용되던 광전극에 비해 동일
전압
하에서 20배 이상 높은 광전류 값을 보였다. 수소 생산량이 20배 많아졌다는 의미다. 또 4시간 밖에 구동되지 않던 기존 기기에 비해 50시간 이상 구동해도 특성에 변화가 없었다. 장 교수는 “이번에 ... ...
더 저렴한 가격으로 트랜지스터 성능 25배↑
2016.04.13
실제 모습.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기존에 사용되던 트랜지스터는 1V(볼트)의
전압
을 걸었을 때 전하가 초당 1.4㎠의 면적을 이동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지만, 리튬을 추가하자 약 5배 높아진 5.2의 이동도를 보였다. CNT처리 과정까지 마무리하자 성능이 약 25배 향상됐다. 고가의 재료인 인듐을 ... ...
모세관 현상 이용, 성능 최고 유기반도체 개발
2016.03.22
나노 크기로 패터닝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렇게 제작된 반도체는 1V(볼트)의
전압
을 걸었을 때 전하가 최대 초당 9.8㎠의 면적을 이동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다. 이는 유기반도체로는 최고 수준의 성능에 해당한다. 또 이 유기반도체를 이용해 트랜지스터 60개를 제작한 결과 성능 편차가 16.3 ... ...
누르기만 하면 끝, 반도체 간단 제작 공정 개발
2016.03.21
문제도 발견되지 않았다. 또 같은 방식으로 PN접합 다이오드를 제작한 결과, 외부
전압
을 가하지 않고도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었다. 기존 실리콘 PN접합 다이오드에 비해 약 10배 가량 빠르게 인가된 빛을 감지했다. 임 교수는 “복잡한 공정없이도 어디서나 원하는 지점에서 ... ...
차세대 전자소재 ‘강유전체’ 원리 첫 규명
2016.03.08
전위(보관
전압
)를 바꿔주는 형태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압력을 받으면
전압
이 높아져 불똥이 튀는 압전소자도 같은 원리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과학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송승우 포항공대(포스텍) 첨단재료과학부 연구원팀은 압전자석으로도 ... ...
27시간 지속되는 ‘메모리 메타물질’ 개발
2016.02.24
중심으로 전기 음성도가 작은 수소와, 큰 불소 원자가 결합한 형태의 고분자로
전압
의 극성에 따라 두 전하가 배열을 달리하고 이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이렇게 개발한 메모리 메타물질에서 전기 자극의 방향에 따라 강유전체의 전하가 정렬되고, 전극이 제거된 후에도 극성이 ... ...
LED 소자 하나로 백색 빛 첫 개발
2016.02.23
개발한 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 KAIST 제공 조 교수는 “기존에 연구한 방식은
전압
의 변화에 따라 빛의 색이 수시로 바뀌어 화질을 안정화 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면서 “산업체 등에서 3차원 생산 공정기술을 추가로 연구해야겠지만 차세대 LED 디스플레이 상용화에 한층 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