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 차세대 메모리로 첫 변신
2015.10.27
저온 공정을 통해 쉽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무기물만 썼을 때에 버금가는 낮은 동작
전압
과 열 안전성을 갖춘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 수 있었다. 최 교수는 “태양전지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드는 데 이용하는 ‘발상의 전환’을 ... ...
아이폰 ‘뽑기’ 논란, 2nm 차이는 성능에서 얼마나 차이 나나
2015.10.04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반도체의 성능은 회로선폭뿐 아니라 칩의 설계나 구동방식,
전압
등 다양한 변수가 있다. 서로 다른 업체에서 생산된 반도체 칩의 성능을 회로선폭만으로 비교하긴 어렵다는 반론도 나온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회로선폭이 좁은 AP칩이 더 많은 ... ...
빨간색→회색→청색, 카멜레온 같은 전자피부
2015.09.30
더 강하게 잡자 청색으로 바뀌었다. 압력을 가하면 발에 달린 물질의 전기 저항이 줄어
전압
이 올라가는데 이에 따라 배에 달린 물질의 화학 구조가 바뀌면서 색이 바뀌는 원리다. 논문의 제1저자인 호시우 추 박사후연구원은 “현재 전자피부는 두 가지 색으로만 바뀌지만 관련 물질을 추가 ... ...
도체-부도체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 첫 상용화
2015.09.09
자체 개발한 MIT 소자를 이용해 소형 전자개폐장치를 만들었다. 기존 전자개폐장치에서
전압
을 측정하는 ‘계전기’ 부분을 떼어내고 MIT 소자로 대체하는 방식이다. MIT 소자는 전선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고, 67∼85℃가 되면 즉시 부도체로 바뀌면서 과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한다. ... ...
南北 대화 모드, 과학계에도 온풍 부나
2015.08.28
예컨대 남북의 철도는 선로 폭은 같지만
전압
이 다르다. 우리 열차가 북한 땅을 달리려면
전압
변화에 대응하는 장치를 개발해 열차에 붙여야 한다. 또 통일 이후에는 러시아까지 열차를 연결해야 하는 만큼 여기에도 대응해야 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넓은 러시아 선로에 맞춰 열차바퀴(대차) ... ...
이산화탄소를 탄소나노섬유로 만드는 간단한 방법
2015.08.19
C)와 산소(O2)가 생성된다. 여기에 1V 이하의 약한
전압
만 가하면 공정이 완성된다. 3~5V의
전압
에 1000도의 온도에서 생성되는 알루미늄보다 공정이 간단하다. 또 연구팀은 50%의 효율을 가진 태양열 발전기를 전력으로 사용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연구팀의 기술은 1시간 동안 탄소나노섬유 수십 g을 ... ...
체내에서 정상작동할 수 있는 반도체 개발
2015.08.18
하는 일이 없이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매우 낮은
전압
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체내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로도 이용할 수도 있다”며 “인체 삽입형 전자소자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바닷물에 들어 있는 염화나트륨(소금) 등의 물질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해
전압
을 발생시키거나 바닷물과 민물의 농도차로 생기는 삼투압을 이용해 발전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든다. 바닷가에서 24시간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온을 분리하는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소재에 손상을 주게 돼 제품수명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도 지목됐다. 송 교수팀은 구동
전압
을 10V로 낮춰 전력소비와 전자기기의 수명 두 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이 만든 필름의 전자현미경 사진. 연구팀은 무질서하게 액정이 배열돼있는 등방성 상태(왼쪽 원)와 규칙적으로 배열된 네마틱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
2015.07.20
신 교수는 “이미 개발된 반도체 소자와 공정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전압
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반도체의 크기와 상관 없이 적용 가능한 기술로 대량 생산 문제를 해결하면 2~3년 안에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과학분야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