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에서 수소에너지 값싸게 얻는 태양광 기술 개발
2016.04.19
H2O)을 수소(H2)로 바꾼다. 연구진이 제작한 기기는 기존에 사용되던 광전극에 비해 동일
전압
하에서 20배 이상 높은 광전류 값을 보였다. 수소 생산량이 20배 많아졌다는 의미다. 또 4시간 밖에 구동되지 않던 기존 기기에 비해 50시간 이상 구동해도 특성에 변화가 없었다. 장 교수는 “이번에 ... ...
더 저렴한 가격으로 트랜지스터 성능 25배↑
2016.04.13
실제 모습.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기존에 사용되던 트랜지스터는 1V(볼트)의
전압
을 걸었을 때 전하가 초당 1.4㎠의 면적을 이동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지만, 리튬을 추가하자 약 5배 높아진 5.2의 이동도를 보였다. CNT처리 과정까지 마무리하자 성능이 약 25배 향상됐다. 고가의 재료인 인듐을 ... ...
모세관 현상 이용, 성능 최고 유기반도체 개발
2016.03.22
나노 크기로 패터닝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렇게 제작된 반도체는 1V(볼트)의
전압
을 걸었을 때 전하가 최대 초당 9.8㎠의 면적을 이동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다. 이는 유기반도체로는 최고 수준의 성능에 해당한다. 또 이 유기반도체를 이용해 트랜지스터 60개를 제작한 결과 성능 편차가 16.3 ... ...
누르기만 하면 끝, 반도체 간단 제작 공정 개발
2016.03.21
문제도 발견되지 않았다. 또 같은 방식으로 PN접합 다이오드를 제작한 결과, 외부
전압
을 가하지 않고도 적외선과 가시광선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었다. 기존 실리콘 PN접합 다이오드에 비해 약 10배 가량 빠르게 인가된 빛을 감지했다. 임 교수는 “복잡한 공정없이도 어디서나 원하는 지점에서 ... ...
차세대 전자소재 ‘강유전체’ 원리 첫 규명
2016.03.08
전위(보관
전압
)를 바꿔주는 형태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압력을 받으면
전압
이 높아져 불똥이 튀는 압전소자도 같은 원리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과학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송승우 포항공대(포스텍) 첨단재료과학부 연구원팀은 압전자석으로도 ... ...
27시간 지속되는 ‘메모리 메타물질’ 개발
2016.02.24
중심으로 전기 음성도가 작은 수소와, 큰 불소 원자가 결합한 형태의 고분자로
전압
의 극성에 따라 두 전하가 배열을 달리하고 이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이렇게 개발한 메모리 메타물질에서 전기 자극의 방향에 따라 강유전체의 전하가 정렬되고, 전극이 제거된 후에도 극성이 ... ...
LED 소자 하나로 백색 빛 첫 개발
2016.02.23
개발한 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 KAIST 제공 조 교수는 “기존에 연구한 방식은
전압
의 변화에 따라 빛의 색이 수시로 바뀌어 화질을 안정화 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면서 “산업체 등에서 3차원 생산 공정기술을 추가로 연구해야겠지만 차세대 LED 디스플레이 상용화에 한층 더 ... ...
[1989년]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2016.02.12
예를 들면 번개칠 때 생기는 전파, 텔리비전 등 방송 전파, 발전소에서 보내오는 송전선
전압
의 미세한 변동 등까지 고려해서 보호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다. 웨버는 수년에 걸쳐서 여러 개의 안테나를 만들었는데 그중 하나의 규격을 요약해 보면 다음 표와 같다. (표2) 웨버의 중력파안테나 ... ...
[사이언스 브리핑]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분석법 개발 外
2016.02.04
뒤 이를 이용해 발전기를 제작했다. 이 발전기로는 5분 만에 축전기(커패시터)에 2V
전압
을 저장할 수 있다. 연구진은 발전기를 2만5000회 이상 반복적으로 사용해도 발전 성능이 그대로 유지됐다고 밝혔다. ... ...
고체 물리 한 분야에 일생 걸었던 외곬수 과학자
2016.01.21
케이블을 손으로 붙잡아 연결하는 데 고기타는 소리가 나더라고요.” 실험장치의
전압
은 54만V. 다행히 손을 빨리 떼 큰 부상으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자칫 평생 손을 못 쓰게 됐을 법한 사건이었다. 그는 “당시 지도교수님이 꽤 까다로웠다”면서 “석사과정인데도 요즘 박사학위 졸업 요건 중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