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저장"(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글리코겐(glycogen)으로 바뀌어 저장되고 그래도 남으면 지방으로 바뀌어 지방조직에 저장된다. 근육을 많이 쓰는 사람은 평소 근육에 글리코겐을 비축해 놓아야 한다. 글리코겐 생합성 과정을 보여주는 일러스트다. - 위키피디아 제공 인체는 탄수화물 잘 소화하도록 진화 논문을 읽다 보니 문득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 ‘플랜트셀 생리학’ 제공 예를 들어 쪽의 잎 세포를 들여다보면 인디칸은 액포에 저장돼 있고 배당체가수분해효소는 엽록체에 들어있어 서로 만나지 않는다. 그런데 잎 조직이 손상돼 한 세포 안에 있는 액포와 엽록체가 터져 내용물이 섞이게 되면 배당체가수분해효소가 인디칸을 인독실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파민뉴런 가운데 한 종류가 망각세포로 특정 냄새의 기억이 저장된 버섯체뉴런(엔그램세포)과 시냅스로 연결돼 있다. 망각세포가 시냅스로 도파민을 분비하면 엔그램세포에서 Rac1이 발현되면서 일련의 신호전달이 일어나 세포골격단백질인 액틴의 구조가 바뀌며 기억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즉 지구의 생명체처럼 이들도 핵산(DNA이중나선 또는 RNA단일가닥)으로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아미노산으로 번역해 단백질을 만들까. 만일 그렇다면 핵산의 염기와 아미노산 종류는 같을까 다를까. 우주에서 날아든 운석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외계생명체도 핵산과 아미노산을 ...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7.07.30
- 하지만 이 긴 물질은 크기가 고작 2~4㎛(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인 세포핵 안에 저장된다. 1962년대 영국의 생물학자 프랜시스 크릭, 미국의 유전학자 제임스 왓슨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여전히 과학자들은 긴 DNA가 어떻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도입된다면 이산화탄소 발생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에 탄소포집저장(CCS) 기술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접목하느냐는 또 다른 문제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협약을 탈퇴하겠다고 몽니를 부리고 있지만 설사 그렇게 되더라도 미국의 트렌드가 과거로 돌아갈 것 같지는 않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분자인 ATP를 만드는데 쓰인다. 결국 운동을 많이 할수록 우리가 먹은 음식물 또는 몸에 저장된 글리코겐이나 지방이 더 많이 소모되므로 당연히 살이 빠질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실제 쉬고 있을 때와 운동을 할 때 에너지 소모량은 후자가 당연히 더 높다. 그런데 하루 24시간 단위로 에너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따르면 주로 식물의 뿌리가 머무는 지표면 아래 20㎝ 지점에 땅 속 탄소가 절반 이상 저장돼 있다고 알려져왔지만, 토양의 온도가 높아지면 땅 속 탄소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가 없었습니다. 연구팀을 이끈 생태학자 힉스 프라이스와 그의 동료들이 산속 깊은 곳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지방세포가 렙틴을 비롯해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지방이 단순히 저장기관이 아니라 내분비기관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듯이 최근 뼈에서도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과 FGF23 같은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게 알려지면서 뼈의 새로운 측면이 드러나고 있다. 연구팀은 뼈에 또 다른 ...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이웃한 원자의 스핀이 반대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데이터의 기본 단위인 1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1비트는 원자 약 100만개가 필요하지만, 이 기술을 사용하면 단 12개의 원자로 이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 크기에 100테라바이트(TB) 이상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수준이다. 하인리히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