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병 피하는 ‘세 부모 아이’ 시술, 성공률 높이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1
해마다 15명 정도의 환자가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으로 병원을 찾고 있다.
논문
의 1저자인 강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으로 고통받는 가족들도 빨리 건강한 아이를 얻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젊은 과학자 10명 ‘제6회 에쓰오일 우수학위
논문
상’ 수상
2016.11.30
화학, 수학, 생물학, 지구과학 등 5개 기초과학 분야 중 독창성과 접근법이 탁월한
논문
을 선정하고 29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에쓰오일 본사에서 시상식을 가졌다”고 이날 밝혔다. 분야별 대상과 우수상 수상자에게는 각각 3000만 원, 1000만 원의 연구 장려금이 지급된다. 연구 장려금은 전액 ... ...
“130년 만에 시조새 무너뜨린 깃털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29
47)이 깃털공룡을 마주한 순간을 회상한 말이다. 그는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만 34편의
논문
을 낸 깃털공룡 화석 분야에서 석학으로 손꼽힌다. 지난 22일 쉬 싱 박사를 천연기념물센터에서 만났다. 최초의 깃털공룡 화석은 지난 1996년 중국 랴오닝 성에서 한 농부가 발견했다. 돌에는 도마뱀을 닮은 ... ...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11.29
현장대응과 조사관은 “학회지를 등재 학술지로 만들기 위해
논문
의 형태를 갖추고
논문
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체계를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소방관들의 화재조사 활동과 연구를 보장하는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발의를 앞두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실린다) 9월 21일자 온라인판에는 며칠 전 필자의 경험과 일맥상통하는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이 실렸다. 프랑스 리용신경과학연구소와 캐나다 몬트리올신경학연구소의 공동연구자들은 냄새에 대한 지각과 생리반응에 미치는 문화와 정보의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몬트리올이 속한 퀘벡 ... ...
[표지로 읽는 과학]생체리듬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8
심혈관연구소 연구원팀도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면역 관련 생체리듬 연구를 모아 리뷰
논문
으로 발표했다. 정상적인 생체리듬이 과도한 면역 반응을 막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감염이나 면역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밖에 ... ...
요요현상 남보다 빨리 오는 까닭은 ‘장내 미생물’
2016.11.28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면역학과 에란 에리나브 교수팀은 25일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
을 발표하고 요요현상이 오는 속도가 장내미생물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우리 몸에는 타고난 세포 외에도 외부에서 들어와 사는 ‘공생 세포’가 최대 100조 개에 이른다. 음식 등을 ... ...
기후변화 막을 새로운 신무기 ‘GMO 식물’이 뜬다
2016.11.24
국립연구소 연구원팀은 지구 온난화를 줄이는 다양한 식물 유전자 조작 전략을 소개하는
논문
을 발표했다. 여기에 따르면 식물의 빛 흡수 효율을 높이는 방법, 태양 에너지를 유기물로 더 많이 전환하도록 조작하는 방법 등 광합성 효율을 높여 이산화탄소 흡수를 높이는 방법이 다수 포함됐다. ... ...
비아그라는 해발 몇 m부터 고산병 예방 효과가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23
합니다. 고산병 예방약…. 정말? - SElefant(W) 제공 한편 2005년
논문
과 정 반대되는
논문
이 2011년에 발표됐습니다. 미국 뉴캐슬대 매튜 배이츠 박사팀의 연구로 오히려 예방하기는커녕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해발고도 몇 m부터 고산병 예방해야할까 어쨌든 힘들게 높은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쓰이지 않는 용어이고 뇌에서 식작용을 하는 세포는 주로 미세아교세포였다. 그리고 리뷰
논문
들에 따르면 미세아교세포는 주로 시냅스를 먹어치운다. 따라서 메치니코프의 서술을 약간 바꿔 “뇌가 줄어드는 건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파괴하기 때문”이라고 쓰면 최신 연구결과를 요약한 글이 ... ...
이전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