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로 되살아 난 인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
2016.10.28
중요시한다. 김종명 관동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2010년 2월 한국수학사학회지에 발표한
논문
‘고대 인도 수학의 특징’을 통해 “인도 수학은 종교철학과 천문학 그리고 언어학적인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인도의 수학책들은 경전이면서 문학작품이었다. 수학책인 ... ...
네이버 자동번역, 왜 갑자기 좋아졌을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10.25
breakfast early in the morning. 물론 NMT 기술을 네이버만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공개된
논문
과 이론을 가지고 네이버가 자체 서비스에 적용해서 최적화한 것입니다. 네이버는 처음 NMT 기술을 한-영 자동번역에 활용했기 때문에 주목을 받는 것이죠. 파파고 개발을 이끈 네이버 랩스의 김준석 리더는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점이다. 반면 보노보와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는 꽤 높다. 2014년 ‘네이처’에 실린
논문
을 보면 수십 년에 걸쳐 침팬지 18개 무리를 조사한 결과 15개 무리에서 동종살해가 일어나 152건(목격 58건, 확실 41건, 의심 53건)에 이르는 반면, 보노보의 경우 4개 무리에서 단 한 건(그것도 의심) 뿐이었다. ... ...
마냥 귀엽지 만은 않다, 미어캣의 두 얼굴
2016.10.25
연구결과도 발표되었으니 말입니다. 이 사실은 듀크대학원생 켄드라 스미스가 박사
논문
을 위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아프리카 남부 칼라하리 사막의 쿠루만 강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37마리의 야생 미어캣 암컷의 배설물을 수집해 측정한 결과, 확인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원인에 대해 스미스는 ... ...
“물리학 사랑했기에 ‘도박’ 해볼 가치있었다”
2016.10.24
교류했다. 2010년엔 한국에서 ‘상전이(相轉移) 현상’과 관련된 방정식을 연구해
논문
도 냈다. 그는 올해도 31일 방문교수로 한국을 다시 찾아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12월까지 머물 예정이다. 그는 “제주도를 비롯한 여러 섬들을 가 보고 싶다”고 말했다. 노벨상 수상 소식을 핀란드의 한 ... ...
실험동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유전체 비밀 풀었다
2016.10.20
60여 명의 과학자가 참여했다. 국내에선 권태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논문
1저자 3명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인간과 유전체가 비슷한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오래전부터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 등을 연구하는 데 쓰였다. 체외 수정을 하는 만큼 한 번에 수백 개씩 수정란을 얻을 ... ...
취업에 유리한 얼굴은?
2016.10.19
데니스 닉슨 교수 팀이 9월초 학술지 플러스원에 실은
논문
이 화제입니다. 위 사진은
논문
자료 중 일부입니다. 갸름한 얼굴을 가진 여성이 서비스 부문에 취업할 확률이 높다는 결론입니다. 그런데 이런 외모 차별이 남성에게는 훨씬 약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120명의 실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지난 4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 과거와 현재, 미래’에는 1966년
논문
의 저자인 해치와 슬랙도 참석해 했다고 한다. 80대에 접어든 두 사람은 후배들의 발표를 열정적으로 경청하며 그 순간을 마음껏 즐겼다고 한다.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 원로과학자가 우리나라에도 많이 ... ...
적외선 → 가시광선 바꾸는 ‘나노필름’ 나왔다
2016.10.17
KIST 제공 우리 눈엔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모아 가시광선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향후 태양광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재료과학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9월 27일자 표지
논문
으로 실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주축이 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지구 상의 125개 집단 379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를
논문
으로 발표했다. 분석 결과 모든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는 아프리카 기원설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그러나 파푸아뉴기니의 일부 원주민들은 기존 아프리카 기원설보다 더 빠른 시기에 갈라져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