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d라이브러리
"
9
"(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끝낸다면 MEMS기술과 결합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겁니다.”2차 연구가 끝나는 200
9
년경에는 종이와 안테나, 회로를 하나로 합쳐진 통합 모델이 완성된다.물론 여러가지 기술적 장벽들이 앞에 놓여 있다. 셀룰로오스 함량이 많은 종이를 제작하는데 심각한 공해가 발생한다는 점이 무엇보다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마약을 끊겠다”며 “수감 중에 재활교육을 받고 싶다”고 호소했다. 안씨는 지난 1
999
년에도 히로뽕을 투약했다가 구속된 적이 있었다. 대구교도소에서 8개월간 복역하다 출소한지 2주일도 안돼 다시 히로뽕을 투약한 것이다.이처럼 마약은 자기통제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강력한 욕구를 ... ...
인간 유전자 수 파리와 엇비슷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됐다. 유전자 수로 볼 때 파리가 2만여개에 달하고, 애기장대 2만5천개, 꼬마선충 1만
9
천개 등이다.이번 연구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에 발표됐으며 지금까지 발표된 것 가운데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의
99
.7%를
99
.
9
%의 정확도로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 ...
상업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우주에서 4분간 무중력상태를 체험할 수 있는 2시간짜리 상업용 로켓여행상품(1인당 1
9
만달러, 약 2억1천8백50만원)을 2007년부터 판매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민간의 우주비행은 1인당 2천만달러(약 2백30억원)의 거액을 내야 했던 러시아의 우주선 소유즈호 우주관광이 전부였다. 한국에서도 최근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처리에 도대체 왜 돈을 쓰지?’이스라엘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고 1
9
70년경 미국에서 티로신아미노트랜스페라제라는 효소를 연구하던 아브람 허쉬코 박사는 영문을 알 수 없었다. 이 효소가 분해될 때 세포 내 에너지원인 ATP가 소모되는 것이었다. 세포는 이 효소뿐 아니라 수명을 다한 단백질을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서로 교차하면서 달라붙는다.열십자형(十)의 DNA 단위체로 만든 나노격자도 발표됐다.
9
개의 DNA단일가닥이 자기조립돼 만들어진 DNA 단위체의 끝부분에는 서로 상보적인 단일가닥이 노출돼 있어 역시 자기조립을 통해 나노격자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격자는 단백질을 올려놓는 지지체로도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기록 향상이 더 빠르기 때문에 2156년 올림픽에서는
9
5%의 정확도로 여자가 남자를 0.01
9
초 차이로 앞선다고 밝혔다.데이텀 교수는 “여자의 기록 향상 속도가 남자를 앞선 이유는 동구권 여자 선수들이 대거 약물을 복용했기 때문이며 이를 금지한
9
0년대 이후 여자의 기록 향상이 느려졌다는 말이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었다.38가지 과학의 색깔 “너무 귀엽다! 달걀 모양이네.”지난
9
월 7일 독일 베를린을 출발해 22일 스페인의 바르셀로나까지 장장 3천km에 이르는 유럽 일주에 성공해 화제가 된 ‘HYSUN 3000’ 이 달걀 모양의 주인공이었다. HYSUN 3000은 젊은 독일 엔지니어들이 만든 수소연료전지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모양의 이 천체는 흥미롭게도 지금으로부터 4백년 전의 사건과 관련이 있다. 1604년 10월
9
일 저녁 서쪽 하늘에서 화성과 목성이 접근한다는 예보가 있어 유럽 천문학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독일의 유명한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도 관측에 나섰다가 공교롭게 두 행성 근처의 땅꾼자리에서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점을 찍은 다음, 모든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해 나눈 영역들의 개수다. 그 이후로 57,
99
가 이어진다.이처럼 아무리 많은 개수의 수를 나열해 놓아도 규칙만 잘 찾으면 그 다음에 오는 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을 수학자 리처드 가이는 ‘작은 수의 강한 법칙’(strong law of small numbers)이라고 ...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