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이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곳은 마이크로 스케일의 세계보다 훨씬 작은 나노(${10}^{-9}$) 스케일의 세계다. 생물시스템의 관점에서 보면, 마이크로 스케일이 세포를 밖에서만 바라볼 수 있다면 세포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 나노 스케일은 세포내에서 펼쳐지는 세계다.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단백질을 만들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필자의 연구팀은 이 기술로 지난 9월 미국특허를 획득했다. 현재까지 연구팀은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소화율을 낮추는 피틴산을 분해하는 파이타아제, 항암능력이 있는 엔도스타틴,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콜레스테롤 옥시다아제 같은 ... ...
- X선 회절분석기과학동아 l2004년 11호
- XRD의 기본 원리다.사실 XRD를 이용한 물질의 결정 구조 분석은 1백여년 전부터 시작됐다. 1895년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후 1912년 막스 폰 라우에가 최초로 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구조를 밝힐 수 있다고 예측했고,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했다. 1950년대 DNA의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처리에 도대체 왜 돈을 쓰지?’이스라엘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고 1970년경 미국에서 티로신아미노트랜스페라제라는 효소를 연구하던 아브람 허쉬코 박사는 영문을 알 수 없었다. 이 효소가 분해될 때 세포 내 에너지원인 ATP가 소모되는 것이었다. 세포는 이 효소뿐 아니라 수명을 다한 단백질을 ...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인공태반 연구는 이미 1960-1970년대에 미국과 일본에서 시작됐다. 일본 동경대는 1999년까지도 연구를 계속했으나 그 후로 더이상 진전이 없다고 한다.이 교수는 ‘힘들다’ 는 게 가장 큰 이유라고 말한다. 일단 인공태반시스템에 한 생명이 들어오면 의료진을 비롯한 많은 전문인력이 며칠 동안 밤을 ...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보인다. 높이는 3.5m, 길이는 5.3m다. 상아 하나가 어른보다 무거운 85kg이며 전체 뼈만 해도 9백kg에 달한다. 불곰보다 30%나 큰 동굴 곰은 남부 유럽에서 번성한 동물이다. 풀, 산딸기, 꿀을 주로 먹었다. 오스트리아의 한 동굴에서는 동굴 곰 화석이 한꺼번에 3만여개나 나온 적이 있는데 집단으로 ...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점을 찍은 다음, 모든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해 나눈 영역들의 개수다. 그 이후로 57, 99가 이어진다.이처럼 아무리 많은 개수의 수를 나열해 놓아도 규칙만 잘 찾으면 그 다음에 오는 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을 수학자 리처드 가이는 ‘작은 수의 강한 법칙’(strong law of small numbers)이라고 ... ...
- 백두산만한 소행성 지구 스쳐갔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거리의 4배 정도로 소행성이 지구에 1백60만km까지 근접한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1989년 발견된 이 소행성은 2개의 거대한 암석 덩어리가 가느다란 목으로 연결된 ‘아령’ 형태로 독특한 자전 방식 때문에 태양계에서 가장 이상한 천체 중 하나로 꼽힌다. 과학자들은 이 천체가 과거 맹렬한 충돌을 ... ...
- 2004 엽기 노벨상과학동아 l2004년 11호
- AIR)가 과학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1991년 제정했다. 올해 시상식은 9월 30일 하바드대에서 열렸으며 배꼽 잡는 주제는 물론 세태를 비꼬는 내용도 담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서로 교차하면서 달라붙는다.열십자형(十)의 DNA 단위체로 만든 나노격자도 발표됐다. 9개의 DNA단일가닥이 자기조립돼 만들어진 DNA 단위체의 끝부분에는 서로 상보적인 단일가닥이 노출돼 있어 역시 자기조립을 통해 나노격자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격자는 단백질을 올려놓는 지지체로도 ... ...
이전5295305315325335345355365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