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일본이 주도하는 국제 연구팀은 약 2년 뒤에 지구 해저지각을 7km 가량 뚫어 지진의 원인과 생명의 기원을 찾아나설 계획이다. 면역(免疫)담당세포 ... 아스팔트모르타르, 수지모르타르, 페라이트모르타르 등이 있게 된다대뇌반구의 아랫부
분
(기저부)에 있는 회백질괴(塊) 뇌의 발달과 함께 ... ...
8월의 페르세우스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떨어지는 유성들을 반대방향으로 연장했을 때 한 곳에 모이는 하늘의 지점이다. 대부
분
의 유성들은 복사점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시작해 방사상으로 퍼져나간다. 그러므로 유성을 페르세우스자리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유성을 관측하는 방향은 하늘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코마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초기 성적은 평균보다 약간 나은 편이었지만 학문적 열정을 일깨운 교장 선생님 덕
분
에 곧 학교의 모든 상을 휩쓸었다.1842년 당시 최고학교였던 고등사범학교 입학시험에서 합격생 22명 중 15위를 하자 입학을 포기하고 이듬해 다시 시험을 치러 4위로 입학했고, 뛰어난 성적으로 화학과 물리학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물을 경수라 하고, 이 외의 H와 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물을 중수라고 한다 보통의 물은
분
자량 18인 경수를 9974%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화학적으로 중수는 정성적(定性的)인 성질에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 ...
즉석필름카메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출시된 첫해 판매량만 650만대에 이르렀으니 말이다. 셔터버튼만 누르고 불과 2~3
분
안에 사진을 쥘 수 있다는 점은 디지털시대에도 즉석카메라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다. 순수한 화학반응만을 이용해 즉석에서 사진 현상과 인화를 끝내는 즉석카메라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모든 병사에게 비싼 화기를 줄 수 없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첨단 장비는 일종의
분
대 지원화기로 배치될 것이다.해병대가 국가전략기동군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형 상륙수송함을 중심으로 기동 수송 능력을 갖춰야 한다. 특히 기동헬기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가 시급하다. 해병대는 대형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해서 연구 성과까지 같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 천문학자들이 광시야 다천체
분
광 기술을 잘만 활용하면 직경 8~10m짜리 망원경이 관측하지 못하는 어두운 천체를 얼마든지 관찰할 수 있다.KLT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돼 2006년부터 건설이 시작된다고 해도 201 ... ...
용암이 남긴 육각기둥 병풍 주상절리대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있던 용암이 식은 표면층, 즉 ‘클링커’(clinker)가 보온 역할을 해 클링커가 두꺼운 부
분
에서는 암석이 서서히 식어 주상절리의 발달이 저조하기 때문이다.대포동 주상절리대는 주상절리의 생성 원인과 과정, 발달 모양과 해식 작용을 관찰할 수 있어 지형·지질학적 가치가 클 뿐 아니라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발사 예정 시간 2시간 30
분
을 남겨 놓고 연료탱크 센서에 문제가 발견되자 NASA는 5
분
간 회의 끝에 발사를 연기했다. 센서 4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 경우 결코 우주선을 발사하지 않는다는 기본 입장을 고수한 것.NASA는 다음 발사 예정일을 이르면 7월 31일 이전으로 잡고 센서에 발생한 문제를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알게 될 것”이라며 로제타 착륙선에 이 자료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제타에서
분
리될 착륙선 파일래는 지하 20cm까지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이 착륙선은 혜성에 착륙해 1년 동안 각종 광물을 수집하고 딥임팩트보다 한 단계 더 깊이 태양계의 비밀을 파헤친다. 로제타 프로젝트의 경비는 ... ...
이전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