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입만 뻥끗해도 척, 붕어 입 통화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004
언어로 바꿔 소리를 전송할 수 있어 외국인과 쉽게 통화할 수 있다. 영어나 프랑스어, 독
일
어는 입술만 움직여도 통화가 가능하다.미하엘 빈트 박사는 “아직까지 중국어처럼 소리의 높낮이(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 잘못된 소리가 전달될 수 있고 전화를 걸 때 입 주변에 센서를 붙여야 하는 ... ...
온난화 막으려다 죽음의 바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04
한다. 1961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도모이산에 중독된 바닷새들이 마을을 공격하는
일
이 발생하기도 했다.트릭 교수는 “도모이산은 먹이사슬을 통해 게나 물고기뿐 아니라 최고 단계 포식자인 포유류와 인간에게까지 전달된다”며 “철분을 바다에 뿌렸을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아무도 알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04
정의 자체가 바뀌었을 뿐 아니라 생명의 기원에 관련해서도 혁신적인 사고의 전환이
일
어났다. 즉 생명의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꼭 풀어야만 했던 ‘DNA(정보)가 먼저냐 단백질(촉매)이 먼저냐’하는 물음은 RNA 촉매의 등장으로 부수적인 문제가 돼 버렸기 때문이다. 정보(염기서열)를 지닐뿐더러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달이 지구의 바닷물을 움직여 밀물과 썰물을 만드는 것도 달의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일
어나는 현상이지요. 이렇게 중력은 천체 사이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기 때문에 중력이 없다면 우주는 엉망진창이 될 거예요. 어쩌면 우주가 시작되지 못했을지도 몰라요.반중력은 이런 중력과 반대되는 ... ...
로봇은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방 로봇의 꿈방 한켠에 있는 현미경 위에 놓인 쇳가루는 그냥 보면 로봇을 만드는 재료
일
뿐이지만, 현미경 스위치를 돌려 확대하면 사람의 얼굴이 나타나. 진짜 쇳가루를 확대한 모습이 아니라 현미경 스위치를 돌릴 때 미리 만들어 놓은 영상이 나타나는 거야. 인간이 되고 싶은 로봇의 소망을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
수학동아
l
201004
카드가 제각기 무작위로 움직이므로 순서대로 배열될 확률은 매우 낮고, 순서 없이 뒤섞
일
확률이 높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여기서 카드를 기체 분자로 52라는 수를 수천억 개가 넘는 수로 바꿔 보자. 기체 분자 하나하나의 움직임은 알 수 없지만, 기체 분자가 모여 어떤 상태를 이룰 확률은 예측할 ... ...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04
밝혔지만 사람들은 좀처럼 농담이라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4색 문제는 1976년에 미국
일
리노이 대학의 아펠과 하켄이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다. 닥터 피노키오의 보너스 마술➊ 세 자릿수를 하나 생각하세요.➋ 그 수를 두 번 연달아 씁니다.➌ 7로 나누세요.➍ 11로 나누세요.➎ 13으로 나누세요.➏ ... ...
지붕뚫고 하이킥의 단짝, 해리와 신애
수학동아
l
201004
극 중의 ‘해리’와 ‘신애’로 변하는 모습에 놀랐어요. 또 학교 공부와 연기, 두 가지
일
을 함께 하지만 공부도 절대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두 친구들이 대견했어요. 이제 ‘지붕 뚫고 하이킥’은 끝났지만, 다음 작품에선 또 어떤 새로운 모습으로 만날지 정말 기대가 되요. 앞으로도 멋진 모습 ... ...
공기 오염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004
‘말하는 수학’은 이야기와 함께 떠나는 수학여행이에요.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수학 문제를 선생님과 우리 친구들이 서로 대화하며 풀어가는 코 ... 문제를 풀기 위해 먼저 그의
일
생을 표로 정리해 봐요. ..... 디오판토스의
일
생을 ‘1’로 두면 9년은 1에서 2528를 뺀 328이 돼요 ... ...
π-day 즐기기 2 원주율에서 나를 찾자!
수학동아
l
201003
분수로는 정확히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라는 사실이 1767년에 독
일
수학자 람베르트에 의해 만천하에 공개됐지. 그런데 나에 대한 사람들의 호기심은 계속되고 있어. 요즘도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누가 더 많은 자리값을 알아 내는지 경쟁해. 그 기나긴 파이값 속에는 온갖 재미있는 수의 배열도 있어.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