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 π-day 즐기기 3 깊이 들여다보기수학동아 l201003
- 내는 것은 정확도의 문제야. 정확도를 계산하는 일은 현대과학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일과 통하지. 원주율을 3으로 알고 있다면 울퉁불퉁한 통나무를 만들지만, 원주율을 3.141592653까지 알면 10억 분의 1까지 오차를 줄여 완전하고 세련된 바퀴를 만들 수 있어.접시나 지구본 등 동그란 물체를 만드는 ... ...
- [새학기 특별 보너스] 새학기 증후군? 문제 없어!수학동아 l201003
- 공부해 보세요. 스스로 생각해서 깨닫는 방법으로 공부 방법을 바꾸면 공포증을 줄일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으로 푸는 두근두근 새학기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PART 2 정신없다, 새학기 준비! 나란히~ 나란히~ 키 번호 정하기 PART 3 완전 ... ...
-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수학동아 l201003
- π와 e원주율 π: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 둘레를 지름으로 나눈 값은 3.141592…으로 일정하고 그 값을 원주율이라고 한다.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기 때문에 근삿값 3.14로 쓴다.자연상수 e : 근삿값은 약 2.7182이며 자연 및 사회 현상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수다 ... ...
- 재난 예측, 예언보다 수학수학동아 l201003
- 해마다 몰아치는 태풍이나 무서운 화산과 같은 재난 앞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미리 예측해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π와 함께 하는 수학파티 π-day 파티에 입장! 오늘의 주인공, 파이를 만나자! π-day, 어디서 즐길까? π-day 즐기기 1 파이 체험하기 π-day ...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수학동아 l201003
- 해일은 해수면의 높이가 갑자기 높아져 바닷물이 땅으로 올라오는 현상이다.진원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인 에너지가 처음으로 발생한 지점이다.진앙진원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지표면의 지점을 뜻한다.지진의 규모지진파 에너지의 크기를 말한다. 보통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지진은 규모가 3.0 이상인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03
- 작업은 쉽지만은 않다. 과학자들은 외계에 생명체가 있다면 DNA가 우리와 다른 형태일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외계인 DNA와 인간 DNA를 재조합해야 한다. 현재로서 근본이 다른 이종 DNA를 합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과학자들은 지난해에서야 381개의 DNA 조각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인공 박테리아의 ... ...
- 아라온호 첫 쇄빙실험과학동아 l201003
- 한국 최초의 쇄빙선 아라온호가 남극에서의 첫 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지난해 12월 18일 인천항을 출발한 아라온호는 뉴질랜드를 거쳐 서남극의 케이프벅스와 ... 남극 항해를 마친 아라온호는 2월 18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 도착했으며 3월 15일쯤 인천항으로 귀환한다.큰그림 ... ...
- 높은 산에서는 숨만 쉬어도 살이 빠진다?과학동아 l201003
- 그동안 학계의 보고에 따르면 운동선수들이 고지대에서 훈련을 하면 살이 빠지는 일은 종종 있다. 고도가 높으면 산소가 부족해 숨이 가빠지고 심장이 빠르게 뛰어 더 많은 에너지가 연소되기 때문이다.리필 교수는 “운동을 싫어하는 비만 환자들을 고지대로 옮기기만 하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과학동아 l201003
-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두 소행성이 충돌해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혜성 ‘P/2010 A2’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소속 링컨지구근 ... 이 혜성이 통상적인 혜성이 아니라 초속 25km로 날아가던 두 소행성이 충돌한 잔해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 김빛내리 교수 ‘셀’지 편집위원에과학동아 l201003
- 3대 과학 학술지로 꼽힌다. 셀의 편집위원에 한국인이 임명된 것은 지난해 뽑힌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하택집(42) 교수에 이어 김 교수가 2번째다. 현재 ‘셀’ 편집위원회에는 김 교수를 포함해 세계 석학 116명이 참여하고 있다.셀은 마이크로RNA를 연구해 국제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4 ... ...
이전5315325335345355365375385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