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산한다.그런데 병원에서는 대체 어떤
분야
에서 방사선을 사용할까. 가장 많이 알려진
분야
는 암치료. 암은 세포이상으로 무한정 세포분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현재까지 암세포를 죽이는데는 방사선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는 방사성동위원소로 비싼 라듐을 사용했으나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용역을 받아 ‘여학생 친화적인 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여성이 과학
분야
에 진출해 어떤 일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할지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한 내용이다. 여기에는 과학을 공부하기를 꺼리는 여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과학을 재미있고 의미있는 내용으로 받아들이게 ... ...
우리 두뇌 담긴 이동전화기 완성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통신시스템인 IMT-2000이 실용화될 예정이다. 이
분야
는 최교수팀이 사력을 다해 매달릴
분야
이다. 우리나라 통신기술이 세계 수준으로 완전히 진입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지난 9월 19일에 끝난 위성통신과 방송 우주산업 전시회 및 세미나에서는 각국의 기술수준과 연구방향들을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미 이런 방식을 통해 혈우병 치료제가 상품화되기 직전 단계에 이르렀다.이
분야
에 관해 한국은 외국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인간의 모유를 닮은 우유, 빈혈치료제, 그리고 백혈병치료제를 만들어내는 보람이(젖소)와 새롬이(돼지), 메디(흑염소)가 그 주인공이다.1996년 11월 국내 최초로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비용(1백억원)의 불과 10분의 1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 지방자치단체가 최초로 제약
분야
에 관심을 보였다는 점 때문에 연구원들은 든든한 버팀목을 얻은 느낌이다.“물론 제약업체 지원뿐 아니라 본연의 업무인 신약 개발에도 많은 힘을 쏟고 있습니다. 특히 10여년 후에 항암제를 개발한다는 목표를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의료용으로 활용되는 또다른
분야
는 장기이식이다. 1960년대 최초의 인공심장이 만들어진 이래 질환에 걸린 신체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장기가 꾸준히 개발돼 왔다.하지만 현재까지 인공장기는 대부분 다른 사람으로부터 진짜 장기를 기증받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생명을 연장시켜주는 수준에 ... ...
사람 귀를 등에 단 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조직세포를 이용해 필요한 장기조직을 만들어내는 일은 조직공학(issue engineering)의 한
분야
에 속한다.장기제조를 위해 먼저 인체나 동물의 연골과 뼈세포를 분리한 후 체외에서 대량으로 배양한다. 다음으로 이들 세포가 코, 귀, 뼈 등 제조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생분해성 고분자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병에 걸리게 만들고, 그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장기이식
분야
도 마찬가지다. 만일 사람에게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돼지가 성공적으로 개발된다면, 그 돼지를 복제함으로써 인체 이식에 필요한 각종 장기를 현재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현재 과학자들은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제품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방송기기
분야
에는 거의 손을 대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
분야
에서는 역시 아날로그 기술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소니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정부는 일본보다 한발 앞서 2001년부터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는 발빠른 정책을 내놓아 안방극장의 혁명이 본격화될 것을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 때도 이런 ‘반대자’로 뮌헨대학의 의화학 교수이자 사회위생학
분야
를 이끌던 막스 폰 페텐코퍼가 있었다. 페텐코퍼는 세균감염설을 믿지 못하고 감염설의 허구를 증명하고자 노력했다.그는 1892년 함부르크에서 콜레라가 크게 유행할 때 공개 행사를 열고 세균감염설에 ... ...
이전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