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없었다. 수컷과 암컷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정액은 수컷의 강력한 무기였다. 미국 우스터대 생물학과 로라 시롯 교수가 이끈 연구진은 작년 12월 발표한 논문에서 정액 단백질이 오래된 ‘성 갈등(Sexual Conflict)’의 역사를 보여준다고 해석했다(오른쪽 표 참조).암컷은 당하고만 ...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했는지, 지난 시간 동안 내 삶을 이끌어온 원동력이 무엇인지를 볼 수 있다. 때문에 미국 미주리대 심리학자 로라킹은 “후회야말로 사람을 성장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고 주장한다. 지나간 시간을 반추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다.마음의 상처를 지키는 낙법결국 중요한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뉴호라이즌 호, 인류 최초로 명왕성을 보다NASA의 무인 탐사선인 뉴호라이즌 호는 2006년 미국에서 발사돼 2007년 2월 목성에 230만km까지 근접했다. 뉴호라이즌 호는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높인 뒤 명왕성에 접근했다. 발사 9년째인 지난 7월 14일, 초속 13.78km의 속도로 명왕성을 접근 통과했다.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있다면, 이 공간은 반드시 구로 변형할 수 있다”는 명제다. 본래 위상수학 문제지만, 미국의 수학자 해밀턴이 이를 ‘리치 흐름’이라는 편미분방정식 문제로 바꿨다. 이 문제는 풀이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특이점이 나타나 당시 증명에는 실패했다. 그런데 러시아 수학자 그레고리 페렐만이 2 ... ...
- [과학뉴스] “나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엔지니어들이 뿔났다. 발단은 지난 7월 미국의 보안기술 스타트업인 ‘원로그인’에서 플랫폼 엔지니어인 이시스 웽거가 회사의 구인광고 모델로 나선 것이었다. 광고를 본 일부 남성들이 SNS에 ‘저런 미인 엔지니어가 있을 리가 없다’, ‘실력 있는 남성 엔지니어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한 가운데 떠있는 우주선에서 재배한 상추는 어떤 맛일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8월 10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우주비행사들이 처음으로 우주에서 기른 채소를 먹게 됐다고 발표했다. ‘우주 채소’는 ISS에 설치된 ‘베지’라는 미니 온실에서 33일 동안 자랐다. 베지는 태양광 대신에 LED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빠진 11인의 협동은 정녕 불가능한가.손승우 교수(이하 손) : 꼭 그렇지만은 않다. 미국 하버드대 마틴 노왁 교수가 2006년 ‘사이언스’에 죄수의 딜레마에 빠진 사람들이 협동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설명했다.송 : 협동을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할 수 있나.정현우 석사 과정(이하 현) : 간단하다. ... ...
- [Hot Issue] 굿바이 M16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미 육군의 공식 소총이 됐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 콜트가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던 미국 시장에 유럽의 총기 제조사들이 뛰어들기 시작했다. 벨기에의 FN으로 대표되는 유럽 회사들은 저작권이 만료된 AR시리즈를 카피해 콜트보다 더 싼 가격에 M4 소총을 공급했다. 근근이 소총 시장의 점유율을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만났다. 너무 안타까워서 자료를 찾아보니, 복합조직이식이라는 개념이 있었다. 그 길로 미국 최고의 손 재건수술병원으로 꼽히는 클라이넛 수부외과센터에 한국 최초로 정식 임상교수로 갔다.우리나라에서 팔 이식 사례가 있는지아직 없다. 한번도 시행되지 않은 수술을 하려면 보건복지부에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알아내 몸이 불편한 사람을 돕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어요. 실제로 2012년 12월,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앤드류 슈왈츠 교수팀은 팔과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로봇팔을 만들었어요.연구팀은 오른팔과 오른손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에 가로 세로 6mm 크기의 전극 2개를 ... ...
이전5335345355365375385395405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