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가고있다. 이에대한 마다가스카르 정부의 대책은 빈곤때문에 연간 겨우 1천달러의 예산
밖
에 책정못하고 있는 상태다.자연과학자에게 있어 '약속의 땅'(Promise land)이고, '패러다이스'(paradise)여야할 마다가스카르-. "카멜레온처럼 언제나 한쪽눈은 과거로, 그리고 또다른 한쪽눈은 미래로…" 이것은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일반 종이와 같이 펄프를 원료로 사용하지만 물을 사용하지 않아 비중이 0.04~0.1정도
밖
에 안된다. 일반종이의 비중은 0.8~1.0. 비중이 작다는 것은 그만큼 틈새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이수건이 수분이나 기름을 잘 흡수하는 이유는 틈새가 많기 때문. 이를 좀 더 발전시키면 틈새에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발표된데 대해 불만을 토로한다. 보다 엄격한 규제안을 채택할 기회를 놓쳤다는 것. 그
밖
에도 전자회사에서 새로 이용하는 CFC113과 군사무기 등에 널리 쓰이는 할론 등의 생산실태가 비밀로 되어 있음이 협약의 실효성과 관련해 지적되고 있다. 물론 협약에서 오존층 파괴의 상황을 최소한 5년마다 ... ...
동맥경화증에 시달리는 도시교통/하나의 치료법 궤도버스(오·반시스팀)의 도입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가능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인다 할지라도 오직 증상악화의 방지만을 희망할 수
밖
에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사에 있어 영원한 불치병은 있을 수 없듯이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따른 첨단 대중교통수단의 개발의 가능하다면 현재 우리가 불치병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 ...
서울대 전체 공동수석 정성태군 "무엇보다 시간관리를 철저히 했죠"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IQ는 140. 공부잘하는 비결은 '기초가 튼튼하게 다져져 있다. 1~2학년 때는 영어와 수학
밖
에는 별로 공부한 것이 없다'고. 고등학교 시절 가장 힘들었던 때는 3학년의 6월에서 10월까지. "일종의 슬럼프랄까요. 학과선택과 학교선택에 고민하던 시절입니다. 6월달부터 막연히 고민해 왔는데 8월말에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수는 정해져있고 우리의세포는 수만개의 유전자
밖
에 만들 수 없다. 그렇다면 수만개
밖
에 없는 유전자가 어떻게 1억개의 항체를 만들 수 있을까? 이 수수께끼는 오랫동안 설명할 수가 없었다. 도네가와는 마우스의 유전자를 해석한 결과 항체유전자와 항체와의 관계는 종래 과학자들이 받아 들였던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매니저들이 회의를 할 때는, 안전원들이 밀집대형을 이루고 둘러서 있다. 문
밖
에는 격자창을 달고 초록과 하얀 색깔을 칠한 경찰출동차가 서 있다. 구내에 들어서면, 금속탐지기가 총기소지여부를 탐색한다. 중요인물들은 경호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디가드들은 귀한 신분을 상징하는 ... ...
미생물로부터 전기생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디지틀시계를 1년동안 작동시킬수 있다고 한다. 연료전지의 성능은 박테리아나 그
밖
의 다른 미생물이 식품을 분해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분해과정에서 산소와 반응하는 많은 전자들이 생성된다. 미생물이 포도당을 분해할때 전자들은 레독스 조정자로 알려진 전자이동분자들에 의해 전환이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밖
으로 나갔다. 그것은 태양계를 떠났다고도 볼수 있다. 사람이 만든 비행물체가 태양계
밖
으로 나간것은 이것이 처음일 것이다. 이어 파이어니어 11호는 73년4월5일에 발사되어 74년12월2일 목성에 4만2천6백km까지 접근하여 파이어니어 10호와 함께 목성의 근접촬영을 처음으로 시작했다. 또 목성의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온도가 계속 올라가면서 남아있던 물이 초고온수증기로 바뀌어 가압관의 벽을 타고
밖
으로 새어나가 흑연과 우라늄연료와 지르코늄이 반응하여 폭발성이 매우높은 가스가 되었다. 이 가스가 몇시간동안 축적되어있다가 압력관에서 방출된 산소와 합쳐져 마침내 폭발되었다. 이 폭발로 원자로가 ... ...
이전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