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원하는 생체조직의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의료영상 기술의 시대가 열릴 것은
분
명하다.하지만 T선도 풀어야 할 숙제가 아직 남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T선 기술로 피부암 등 암을 검진할 경우 T선이 조직내부를 투과하는 것이 아니라 반사된다. 투과형의 경우 T선이 물에 쉽게 흡수되는 문제점이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잃어버렸다.조사위원회는 우주왕복선 발사 결정 등에 우주비행사와 공학자의 의견을 충
분
히 반영할 것을 권고했다. 또 우주비행사의 탈출 시스템의 안전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했다. 이후 NASA는 1988년 9월에야 우주왕복선 비행을 재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챌린저호 사고 후 17년만인 2003년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냈을 때와 한국 과학자가 냈을 때 차별을 받았답니다. 교수님은 논문 심사위원이 자신의
분
야에 대한 최신 흐름을 모르는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심사위원을 바꿔 달라고 강력하게 요청했고, 결국 교수님의 논문은 인정받게 되었답니다. 시련을 이겨 내고 통과된 논문으로 한국과학상도 수상하게 된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적어도 소행성 충돌이 지구 역사에서 적지 않게 일어났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은 충
분
하다.소행성의 위협에서 지구를 지키려는 연구는 이미 시작됐다. 천문연 문홍규 연구원은 “유럽과 일본은 올해 12월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기 위해 잠실야구장 3배 크기의 우주선 기초설계를 시작할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날개가 달린 선미익기여서 추락할 때 빙글빙글 돌지 않고 마치 파도를 타듯 동체 앞부
분
부터 비스듬히 내려갔다. 글라이더를 조종한다고 생각하자. 지상에 착륙하기까지 30~40초 동안은 오로지 무사히 착륙하는데 온 신경을 집중했다.땅에 바퀴가 닿고 3m 가량을 미끄러졌다. 반디가 멈춘 후 주변을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효율이 광합성의 10
분
의 1에 그친 정도다. 기술적으로 3차원 공간 배열이 어렵고,
분
자 배열시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빛 알갱이 하나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태양전지가 개발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빛 알갱이 하나를 받아 전자를 하나 배출하는 그야말로 100%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바다를 가리지 않고 세계 일주와 모험을 즐기고 있다.영국 BBC방송은 포셋에 대해 “5개
분
야에서 100개 이상의 기록을 세웠으며 이중 60개는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험을 즐기는 만큼 위험도 많아 1997년 열기구로 세계 일주에 도전했을 때는 러시아에 불시착했고 이듬해 도전에서는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밤하늘을 수놓는 수많은 별빛. 지평선 아래로 태양이 내려가고 햇빛이 사라져야 그 모습을 드러내기에 더욱 아름답게 느껴진다. 그러나 사실 ... 나노 촉매를 제조하는 등 이
분
야에서 가장 앞서있다”며 “음파발광은 잠재성이 큰
분
야이므로 우리도 관심을 가져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그림을 선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와 그렇지 못한 정보의 구
분
은 비단 뇌손상 환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못하는 정보들이 행동에 영향을 주거나 뇌 영상에서 활성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과거에 우연히 ... ...
태양보다 15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되기 위한 최소 질량은 태양 질량의 10
분
의 1이다. 그렇다면 최대 질량은?미국 항공우주국(NASA) 볼티모어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도널드 피거 박사팀은 태양 질량의 150배 정도가 정답이라고 ‘네이처’ 3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별의 최대질량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