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선택요령① 프린터의 구입과 활용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의 새로운 인쇄양식을 예상하게 하는 프린터이다. 컴퓨터에서 보내온 정보를 레이저
빛
으로 바꾸어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drum) 에 이 정보를 기록하고 드럼위에 기록된 정보를 다시 종이에 전사하는 독특한 방법으로 인쇄를 한다.해상도는 3백DPI(Dot Per Inch:1인치 내에 표시할 수 있는 점의 숫자)에서 ... ...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악성종양 만을 태워버릴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으며 회복이 빠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빛
을 통한 재료 가공고출력 레이저의 출현으로 인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재료가공 분야가 새로운 기술로 등장하였다. 레이저 가공에서는 레이저광을 집속시켜 가공하기 때문에 비접촉 가공이어서 피가공물에 ... ...
껌처럼 늘어나는 금속의 마술사 슈퍼플라스틱 금속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관련이 있다(재료의 성질이란 전기적인 전도성, 역학적인 강인성, 자석의 성질,
빛
을 통과 혹은 반사하는 광학적인 성질 등을 의미한다.).이 점이 바로 아폴로 우주선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태동한 현재 재료과학의 바탕이며, 동시에 다른 학문분야와 비교해서 재료과학이 가지는 장점이기도 하다. 즉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보름달이 휘엉청 뜬 밤일지라도 인간의 시력에는 한계가 있게 마련. 지금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야간장비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2차대전 말기, 독 ... 성공했다.그 중 하나는 대기나 지상에 존재하는 스모그 안개 연기 분진구름 입자 등에
빛
이 강하게 산란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예가 실제로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것은 대체 어째서 일까.대량생산 농업의
빛
과 그림자 원래 농업은 조상대대로 전해내려 온 종자를 소중하게 보존하여 때가 되면 뿌려 가꿔서 거둬들이는 것을 되풀이하여 오는 것. 이것은 세계 어디에서나 꼭 같다. 그 토지마다에 가장 알맞는 성질이 ... ...
갈륨비로반도체 양산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5~6배 빠르다. 또 실리콘반도체가 단순히
빛
을 전기로 바꾸는데 비해 갈륨비소는 전기를
빛
으로 바꿀 수 있는 특성도 지니고 있으므로 고온 저온에서도 작동 가능하다.현재 갈륨비소반도체의 세계시장은 30억달러규모이며 매년 15%이상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레이저다이오드외에 LED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가게 하는 것일 뿐 시간을 거꾸로 가게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최대로 해서 입구가
빛
의 속도로 움직인다고 하면 시간은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에 정지해 있을 뿐이다. 어떤 진보된 생명체가 이미 이런 장치를 만들었다면 우리는 과거로 가서 공룡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우리 혹은 시간구멍을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것이다. 소행성이 돌발적으로 충돌을 일으키면 먼지가 지구를 둘러싸므로 태양의 열과
빛
이 차단되어 몇년 정도를 밤이 계속되고 잠시동안이나마 태평양이 얼어 붙을 정도로 추위가 불어닥쳐 공룡이 멸종될 수밖에 없다.한편 큰 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면 대화재가 전지구적으로 일어나 삽시간에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호의 토성탐사는 토성 주위를 도는 위성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인데 비해, 2호는 찬란한
빛
을 발하면서 지구인에게 끝없는 우주 도전의 꿈을 심어준 토성고리의 구성성분을 밝히는 것. 현재까지 밝혀진 토성의 위성은 21개이지만(보이저 3개발견) 아직 발견하지 못한 위성이 더 있을 것으로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동물의 화석들을 채집하면서 어금니(臼齒, 구치)화석 하나를 채집한 게 북경원인이
빛
을 보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일제시대 경주에서 신라시대 서봉총 고분을 발굴할 때도 내한했던 스웨덴 황태자가 1926년 북경을 방문한 후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그후 해부학자인 'D.블레이크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