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과학기술의 주춧돌이 되기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것이다. 주파수는 현대과학기술로써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양이므로 이와 같이
빛
의 속도를 이용하여 미터를 정의하면 크립톤-86램프에 의한 정의보다 길이를 훨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실제로 상기 정의를 실현하는 장비로서 주파수가 안정된 레이저를 들 수 있으며, 이를 광원으로 ... ...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자극에 대한 과민·과소 반응자페아의 경우 보통사람이 별 반응없이 지나치는 소리나
빛
냄새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흥분하기도 한다. 반대로 전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안하는 수도 있다. 특정 가수나 아나운서의 목소리에 놀라서 어쩔줄 몰라하거나, 반대로 아무리 이름을 불러도 반응을 보이지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체제를 갖추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하고 "그러나 이러한 청사진이 장미
빛
환상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학기술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이 교정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즉 연구예산의 편성과 집행의 자율성, 단시일내에 결과물이 보이지 않더라고 장기프로젝트에 대한 ... ...
세계 최강 합금개발, 과연 쓸모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기대를 받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하지만 금속재료는 기계등의 재료로 실제로 활용되어야
빛
이 난다. 이때부터는 경제성을 따지는등 수많은 고달픈 관문이 가로놓이게 된다. 그렇다고 애당초 실용성을 제쳐놓고 새로운 합금을 개발한다는 얘기는 아니다."새로운 합금이 나왔다고 해서 하루 아침에 ... ...
건축설계
빛
과 그림자속을 오가며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건축가라면 얼핏 듣기에 그럴듯 하지만 우리 사회의 온갖 모순과 유혹이 엉켜있는 특이한 전문 직업내가 대학을 갓 입학했을 무렵에 TV연속극 중에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프로가 있었다. 제목은 기억을 못하겠으나 김세윤 장미희 정윤희 정도가 주인공으로 나와 한남자와 두여자 사이의 삼각관계가 ... ...
광학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안경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미경을 들여다 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10문제중 0~3문제를 맞추면 분발대상, 4 ... 큰
빛
일수록 많이 굴절되는데 붉은
빛
은 푸른
빛
보다 진동수가 작다. 따라서 렌즈는 붉은
빛
보다 푸른
빛
을 더 굴절시킨다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가장 가까운 이웃 항성인 알파 센토라이(Alpha Centauri)별은 약 40조㎞ 떨어져 있으므로
빛
의 속도로 여행한다 할지라도 4.3년이 걸린다. 그러므로 특수상대성원리의 속도한계론은 사람이건 물건이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을 왕복여행하고 돌아오는 데도 8.6년이 경과해야 함을 뜻하게 된다. 더구나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감소시키는 요인은 모두 태양에 근거한다. 지구는 상당히 낮은 엔트로피 상태인 햇
빛
, 즉
빛
에너지를 흡수한다. 또 같은 양에 해당하는 높은 엔트로피 상태인 열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로써 전체 에너지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엔트로피를 감소시키고 있는 것이다.그 덕분에 지구에는 낮은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다른 하나는 그 반대방향으로 돌게 된다. 이 두개의 빔은 보다 강력한 힘을 받아 거의
빛
의 속도로 질주하게 되는데 이때 한 지점에 양자들이 모아지고 서로 충돌하게 된다. 이 충돌순간에는 지상의 모든 발전소가 낼 수 있는 것 이상의 에너지가 동원된다. 또 이 순간에는 온도가 우주탄생 직후(${10} ... ...
에너지를 담는 수소저장합금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결국 우연의 산물이다. 우연히 나타난 현상을 놓치지 않은 한 과학자의 노력에 의해
빛
을 보게 된 것이다.그러나 그 때에 발견된 수소저장재료들을 진정한 의미의 수소저장합금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들은 수소를 흡수할 줄만 알았지 방출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즉 안정한 수소화합물을 형성하는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