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그런 타히티 여인들은 마치 여신과 같다. 고갱은 이렇게 말했다. "여인들의 황금색으로
빛
나는 육체와 호박색의 매끄러운 피부에는 마음 속으로 깊이 스며드는 우아함이 감춰져 있다"여인들 뿐만인가. 남성들도 훌륭하다. 부겐빌의 다음과같은 말은 약간 탐미적이긴 하지만 정확한 표현이라 할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왔던 것은 태양의 흑점수. 흑점수가 많으면 태양의 활동도 활발해 지구에 내리쬐는
빛
도 강할 것이라는 가정이 자연스럽게 제기되었으나, 실제는 이와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났었다.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오히려 태양흑점이 많은 해는 저온이고 적은 해는 고온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관계도 192 ... ...
사람을 너무 닮아 슬픈 운명에 오랑우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따라 또는 나이나 서식지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늙으면 점점 붉은 보라
빛
과 오렌지
빛
의 수염이 나 있다. 주둥이는 성장하면서 앞으로 튀어나오는데 턱이 발달해 험상궂은 얼굴을 하고 있다.특히 수컷은 어깨부터 턱밑까지 커다란 지방덩어리인 후낭이 붙어있다. 이 때문에 얼굴이 2배 이상이나 더 ... ...
에너지를 담는 수소저장합금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결국 우연의 산물이다. 우연히 나타난 현상을 놓치지 않은 한 과학자의 노력에 의해
빛
을 보게 된 것이다.그러나 그 때에 발견된 수소저장재료들을 진정한 의미의 수소저장합금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들은 수소를 흡수할 줄만 알았지 방출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즉 안정한 수소화합물을 형성하는 ... ...
광학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안경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미경을 들여다 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10문제중 0~3문제를 맞추면 분발대상, 4 ... 큰
빛
일수록 많이 굴절되는데 붉은
빛
은 푸른
빛
보다 진동수가 작다. 따라서 렌즈는 붉은
빛
보다 푸른
빛
을 더 굴절시킨다 . ...
건축설계
빛
과 그림자속을 오가며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건축가라면 얼핏 듣기에 그럴듯 하지만 우리 사회의 온갖 모순과 유혹이 엉켜있는 특이한 전문 직업내가 대학을 갓 입학했을 무렵에 TV연속극 중에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프로가 있었다. 제목은 기억을 못하겠으나 김세윤 장미희 정윤희 정도가 주인공으로 나와 한남자와 두여자 사이의 삼각관계가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다른 하나는 그 반대방향으로 돌게 된다. 이 두개의 빔은 보다 강력한 힘을 받아 거의
빛
의 속도로 질주하게 되는데 이때 한 지점에 양자들이 모아지고 서로 충돌하게 된다. 이 충돌순간에는 지상의 모든 발전소가 낼 수 있는 것 이상의 에너지가 동원된다. 또 이 순간에는 온도가 우주탄생 직후(${10}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감소시키는 요인은 모두 태양에 근거한다. 지구는 상당히 낮은 엔트로피 상태인 햇
빛
, 즉
빛
에너지를 흡수한다. 또 같은 양에 해당하는 높은 엔트로피 상태인 열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로써 전체 에너지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엔트로피를 감소시키고 있는 것이다.그 덕분에 지구에는 낮은 ... ...
여름철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둘다 광과민반응을 억제한다. 예컨대
빛
을 흡수하는 파라아미노벤조익산(PABA)이나
빛
을 흡수하지 않는 아연염(Zinc Oxide)은 모두 태양광선이 피부에 닿는 것을 막아준다.이같은 광차단 크림이나 로션은 하루에 두번, 즉 태양에 노출되기 전과 후에 바르는게 좋다. 특히 수영을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린 ... ...
DNA분자를 처음 보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현미경으로 보는 물체들 역시 미세하다. 물체들이 너무 작다면 그것을 보는데 쓰여지는
빛
의 파동보다도 작다는 얘기이다. 이 경우 파동은 물체를 건너뛰게 되어 물체는 볼 수 없게 된다.이 난관을 피하기위해 자외선같은 보다 짧은 파동을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얼마동안 학자들은 '자외선 현미경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