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보트
로봇트
robot
인조인간
기계 인간
자동 인형
총
d라이브러리
"
로봇
"(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판단을 내리는 것처럼
로봇
도 카메라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판단을 내리는 게 지능형
로봇
개발에는 중요하다”며 “사람의 얼굴을 정확하게 인식할 뿐만 아니라 상황이 바뀌어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장 박사는 2013년 UST에 입학해 윤 교수의 지도로 올해 2월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꼭 얘기하고 싶습니다. 인간과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서
로봇
을 존중하고 아끼며,
로봇
과 인간은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가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인간은 서로 아껴주는 친구 같은 존재와 함께 살아갈 때 어려움을 이겨나갈 힘을 얻고 큰 위안을 받습니다. 우리가 로보트 재권V를 만든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화성 탐사 각축전이 펼쳐질 전망입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0년 7월 화성 탐사
로봇
‘마스(Mars) 2020’을 발사할 계획이며, 유럽과 러시아도 같은 시기 ‘엑소마스(ExoMars) 2020’을 발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마스 2020은 화성에 착륙해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보관했다가 뒤따라 도착하는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수 없도록 소프트웨어에서 경기 규칙 등 복잡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이 소프트웨어는
로봇
을 실제로 제작하기 전에 바퀴 속도를 테스트하는 등의 시뮬레이션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같은 논리로 보면, 겉모습이나 행동이 아무리 인간과 똑같다고 해도 인공지능
로봇
이 인간처럼 의식을 가졌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설은 인공지능이 인간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으로 대화할 수 있다면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튜링 테스트를 비판하기 위해 이 사고실험을 만들었습니다 ... ...
[과학뉴스]
로봇
배달원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자동차 제조회사 포드는
로봇
을 만드는 ‘어길리티 로보틱스’와 함께 개발한 2족 보행
로봇
‘디지트’의 영상을 공개했어요. 영상 속 디지트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타고 목적지에 도착해요. 자율주행 자동차의 트렁크 문이 열리면 몸을 접어 부피를 줄이고 있던 디지트가 몸을 펴고 내려 두 팔로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블록으로 나보다 큰
로봇
을 만들 수 있다면….’ 블록을 가지고 놀면서 이런 생각 해본 적 없나요? 그렇다면 이번 ‘출동! 어과동 기자단’을 주목해 보세요! ... 조각으로 합동인 큰 도형을 만들어 보았어요. 그리고 결국 친구들의 키만큼 커다란 로켓과
로봇
을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
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continued. 한재권한양대
로봇
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
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로봇
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사용할 수 있는 게 홀로그래픽 이미징 기법입니다.”문인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
공학전공 교수가 이끄는 지능형이미징및비전시스템연구실로 들어서자 홀로그래픽 이미징 시스템이 눈앞에 펼쳐졌다. 중앙을 차지한 이 시스템 주변으로 연구원 9명의 책상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었다. 문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따르다 보면 일정한 주기마다 반복되는 패턴이 있다. 반복적인 패턴은 자기 복제
로봇
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같은 형태의 패턴을 주기마다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