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스콧 셰퍼드 연구원이 발견했다. 대부분의 다른 불규칙위성처럼 매우 작고 멀어서,
망원경
으로 봐도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 먼 곳에서도 행성 주위를 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다.한국천문연구원 토비아스 힌제 박사는 “규칙위성은 행 성 주위를 도는 원반에서 만들어진다”며 “별이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미칠 정도로 밀도가 높지 않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랜들 교수팀은 페르미우주
망원경
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은하면을 중심으로 두께 35광년의 밀도가 높은 암흑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로 세로 높이 1광년의 공간에 태양하나 질량의 암흑물질이 있는 밀도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
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까지 우주의 탄생 이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주의 발자취를 두 권의 책을 통해 더듬어 보는 것은 어떨까 ... ...
달과 충돌한 400kg짜리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호세 마리아 메디에도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9월, 달충돌모니터링 프로젝트용
망원경
으로 이 모습을 촬영했어요. 이 소행성은 지름이 약 1.4m나 되고 무게는 약 400kg이나 나가며 시간당 2만 7000km로 날아갔답니다. 충돌하고 나서 약 8초 동안 밝은 빛이 번쩍였지요. 이 충격으로 달 표면에는 지름이 40m나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이에 따르면 우주의 급팽창은 약 10-37 초에 일어났다는 결론이 나온다. [남극에서 케크
망원경
(KECK)으로 바이셉2의 결과에 대한 검증 실험을 진행 중이다.]그렇다면 바이셉2가 정말 우주의 급팽창을 실험적으로 관측한 것일까? 엄밀한 의미에서 바이셉2가 관측한 것은 빛의 원형편광이다. 원형편광은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소행성이 발견됐어요.NASA(미국항공우주국)와 ESA(유럽우주기구) 과학자들은 허셜우주
망원경
으로 소행성 세레스가 수증기를 내뿜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과학자들은 세레스에서 수증기가 뿜어 나오는 현상이 이 소행성에 물과 얼음이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세레스는 화성과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떠다니고 있다. 이를 우주배경복사 혹은 우주마이크로 배경복사라고 부른다. 우리는 전파
망원경
등 각종 장비로 우주배경복사를 찍어서 우주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빛이 ‘출산’된 이후에는 우주가 커가는 걸 찍은 사진이 많은 셈이다.우주배경복사의 신기한 점은 어느 방향에서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바이셉2
망원경
의 패널에는 우주배경복사 편광성분을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들이 연결돼 있다. 컴퓨터 기판의 집적회로 구성과 비슷하다.]이번 연구 논문은 현재 ‘네이처’에서 심사 중이다. 그런데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중력파, 즉 시공간의 물결을 포착한 첫 사례”라고 하버드-스미소니언 ... ...
Part 1. 왜 이렇게 떠들썩하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사건의 주인공은 남극에서 ‘바이셉2(BICEP2)’라는
망원경
으로 우주를 관측하던 연구팀이었다. 이들은 우주가 태어나던 날, 즉 빅뱅 이후 처음 흘러나온 빛이라고 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주배경복사를 연구하던 팀은 많았다. 이미 두 번이나 노벨물리학상을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B-모드 편광성분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남극에서 바이셉2라는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하늘 전체의 약 1∼5˚(보름달 지름의 2∼10배 정도 되는 범위)에 이르는 부분을 관측했다.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