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
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까지 우주의 탄생 이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주의 발자취를 두 권의 책을 통해 더듬어 보는 것은 어떨까 ... ...
달과 충돌한 400kg짜리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호세 마리아 메디에도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9월, 달충돌모니터링 프로젝트용
망원경
으로 이 모습을 촬영했어요. 이 소행성은 지름이 약 1.4m나 되고 무게는 약 400kg이나 나가며 시간당 2만 7000km로 날아갔답니다. 충돌하고 나서 약 8초 동안 밝은 빛이 번쩍였지요. 이 충격으로 달 표면에는 지름이 40m나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될 것이다.현재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
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미칠 정도로 밀도가 높지 않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랜들 교수팀은 페르미우주
망원경
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은하면을 중심으로 두께 35광년의 밀도가 높은 암흑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로 세로 높이 1광년의 공간에 태양하나 질량의 암흑물질이 있는 밀도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이에 따르면 우주의 급팽창은 약 10-37 초에 일어났다는 결론이 나온다. [남극에서 케크
망원경
(KECK)으로 바이셉2의 결과에 대한 검증 실험을 진행 중이다.]그렇다면 바이셉2가 정말 우주의 급팽창을 실험적으로 관측한 것일까? 엄밀한 의미에서 바이셉2가 관측한 것은 빛의 원형편광이다. 원형편광은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소행성이 발견됐어요.NASA(미국항공우주국)와 ESA(유럽우주기구) 과학자들은 허셜우주
망원경
으로 소행성 세레스가 수증기를 내뿜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과학자들은 세레스에서 수증기가 뿜어 나오는 현상이 이 소행성에 물과 얼음이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세레스는 화성과 ... ...
Part 1. 왜 이렇게 떠들썩하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사건의 주인공은 남극에서 ‘바이셉2(BICEP2)’라는
망원경
으로 우주를 관측하던 연구팀이었다. 이들은 우주가 태어나던 날, 즉 빅뱅 이후 처음 흘러나온 빛이라고 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주배경복사를 연구하던 팀은 많았다. 이미 두 번이나 노벨물리학상을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바이셉2
망원경
의 패널에는 우주배경복사 편광성분을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들이 연결돼 있다. 컴퓨터 기판의 집적회로 구성과 비슷하다.]이번 연구 논문은 현재 ‘네이처’에서 심사 중이다. 그런데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중력파, 즉 시공간의 물결을 포착한 첫 사례”라고 하버드-스미소니언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B-모드 편광성분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남극에서 바이셉2라는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하늘 전체의 약 1∼5˚(보름달 지름의 2∼10배 정도 되는 범위)에 이르는 부분을 관측했다.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 ...
태양보다 100억 배 거대한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X선을 내뱉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물질들이 내뱉는 X선을 찬드라 우주
망원경
과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관측해 이 블랙홀을 찾았어요. 놀랍게도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부터 약 39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은하단 RX J1532에 속해 있답니다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