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이 화산은 에베레스트 산 높이의 4배에 달하며 550km2 넓이에 걸쳐 분포한다. 지구에서
망원경
으로도 볼 수 있다. 지구보다 작은 행성에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해 거대한 화산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적절한 두께의 지각판의 형성이나 이동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와이 열도의 형성과는 ... ...
들리는가, 용암이 울부짖는 소리가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내가 탐험한 빅 아일랜드를 다시 떠올려 보았다. 그곳은 하늘을 향해서 가장 뛰어난 거대
망원경
들이 우주의 역사를 밝혀내고 있었다. 그리고 땅을 향해서 가장 생생하게 움직이는 용암이 지구의 역사를 들려주고 있었다. 우리가 탐험을 하는 이유는 자연의 역사, 결국 우리의 역사를 알고 싶어 하기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말했다. 측정 방법에 따라 거의 15% 정도 차이가 나는 셈이다. 이석영 교수도 “허블우주
망원경
을 이용해 가까이에 있는 은하로 구한 값은 75~80km/s/Mpc 정도”라며 “반면 더 먼 초신성을 이용해 측정한 경우 67km/s/Mpc과 비슷한 값을 얻는다”고 설명했다.네 번째는 가상의 입자인 ‘제4의 중성미자’의 ... ...
지구형 행성 3개 또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부근에서 지구와 같은 행성을 찾아왔다.최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케플러 우주
망원경
을 사용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지구형 행성 3개를 추가로 발견했다. 이들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들보다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이중 2개는 지구로부터 1200광년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전에 사운딩 로켓에 실어서 검증했던 것이다. 콤튼 감마선우주
망원경
이나 트레이스우주
망원경
과 같은 잘 알려진 관측위성이 모두 이런 과정을 거쳤다. 시험용 장비를 분리한 뒤 낙하산을 이용해 지상에 내려오게 하면 회수한 뒤 다시 사용할 수 있다.탐사선을 발사했다가 다시 지구로 귀환시키는 ... ...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말했다.세 개의 행성은 모두 NASA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
으로 발견했다. 케플러 우주
망원경
은 행성이 별 주위를 돌 때 별빛을 조금 가리면서 점을 만드는 걸 보고 외계행성을 찾는다. 점이 클수록 행성도 크다. 지금까지는 지난해 발견된 케플러42d가 가장 작은 행성이었다. 케플러42d는 지구의 절반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지하에 건설할 ‘아인슈타인
망원경
’과 우주 중력파검출기가 대표적이다. 아인슈타인
망원경
은 유럽의 중력파 연구 기관이 협력해 계획하고 있는 검출기로, 땅의 진동을 피하기 위해 지하 100m에 설치한다. 터널의 길이는 10km로 늘어나 감도가 더욱 좋아진다. 라이고나 버고 등과 달리 터널 세개가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설치하는 계획으로 남반구의 별을 24시간 관찰할 수 있다. 남반구의 밤하늘은 아틀라스의
망원경
이 볼 수 없는 곳이다.세계 여러 나라들이 힘을 모아 위협적인 소행성을 발견한다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 위협적인 천체를 조기 발견할 경우 소행성에 태양풍 돛을 달거나 폭탄을 이용해 궤도를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원래 물이 많다그렇다면 혜성을 이루고 있는 물은 어디서 왔을까. 최근 허셜우주
망원경
이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관측 결과를 내놨다. 별이 태어나기 직전의 가스 원반에서 차가운 수증기를 발견했다는 연구가 2011년 10월 ‘사이언스’에 실린 것이다.별이 태어나는 곳 주변에 물이 생긴다는 사실은 잘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또 바깥 쪽으로는 직접 새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망원경
이 설치돼 있었다. 기자는 마침내
망원경
으로 물속에서 먹이를 찾고 있는 도요새를 볼 수 있었다. 황해 건너 동탄 습지까지 와서 철새떼가 날아오르는 모습을 보지 않고 갈 수는 없다. 조류 박물관을 떠나 갈대숲 더 깊숙한 곳에들어서자 기자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