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발
머리털
머리
모발
헤어
두부
두상
d라이브러리
"
머리카락
"(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나노란10억분의1을뜻하므로1nm(나노미터)는${10}^{-9}$m, 즉
머리카락
두께의 10만분의 1에 불과한 길이다.탄소나노튜브를 디스플레이에 적용KAIST 화학과 김봉수 교수의 나노바이오광기술연구실은 이처럼 눈앞에 다가온 나노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나노시대를 가능하게 할 나노소자를 개발하고 있기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칩 제조 기술은
머리카락
의 두께에 해당하는 마이크로(${10}^{-6}$) 수준에서 원자와 분자가 속해있는 나노((${10}^{-9}$) 단위로 전환중이다. 이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2가지 방식으로 나노세계로 접근해가고 있다. 하나는 원래 큰 덩어리였던 것을 나노수준으로 세밀하게 새기는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떠있는 논병아리는 눈과 부리 안쪽이 노란색이고 깨르륵 하는 울음소리를 낸다. 마치
머리카락
을 치켜올린 것처럼 머리 위에 뾰족한 깃털이 있고 뺨에 붉은 털이 난 새는 뿔논병아리다. 논병아리는 다리가 몸 뒤쪽에 있기 때문에 깊은 물에서 헤엄치기에 좋으나 땅위에서는 뒤뚱뒤뚱 우스꽝스럽게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하는 특정세포를 만든다. 즉 줄기세포가 발생과정을 거쳐 안정된 형태로 수렴하면
머리카락
세포나 손톱, 뼈세포, 신경세포 등 특정 기능을 가진 하나의 세포가 된다. 이들은 잠재적으로 다른 세포가 될 가능성을 자신으로 흡수함으로써 세포의 한 종류로서 이름을 올렸다.생태계에서 만들어질 수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잘려나간 괴물 메두사의 모습이 아닐까.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메두사는 기괴한 얼굴에
머리카락
은 온통 뱀이며 바라보는 사람이면 누구나 돌로 변하게 만드는 무시무시한 눈을 지닌 바다 괴물이다. 메두사의 눈은 항상 부릅뜬 상태라 위험하기 짝이 없었다. 크게 찢어진 입에서 웃을 때는 기다란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미술품이나 보석, 현금 등을 훔치러 오늘도 담을 넘고 있지만, 그들이 떨어뜨리는 한올의
머리카락
이나 발자국 하나, 지문 하나는 형사들에게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한올의 모발도 남기지 않겠다고 자신하지 말라. 접촉한 모든 물체는 서로 흔적을 남기게 마련이니까.변장술의 귀재 프랑스판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상품을 택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20-30만원 선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자신의
머리카락
이나 체모, 타액을 검사 업체로 보내면 결과를 1주일 내에 받아볼 수 있다.검사 결과는 어떨까. 대부분의 사설 업체는 질병관련 유전자 검사에 대해서 매우 상세한 보고서를 보낸다. 그만큼 자신있다는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정체가 점점 커지는 것이 노안의 원인이라는 새로운 학설을 발표했다. 수정체는
머리카락
이나 손톱처럼 매년 약 0.02mm씩 자란다.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가 점점 커지면 수정체와 모양체 사이의 간격이 매우 가까워진다. 이렇게 되면 모양소대가 모양체와 수정체 사이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묻어있다는 손수건과 수십년 동안 페테스부르크 궁전에 보관돼 있던 니콜라스 2세의
머리카락
을 함께 첨부했다. 만약 게오르기 대공의 유골에서 얻은 DNA와 니콜라스 2세의 DNA가 일치한다면 그 뼈가 진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힘겹게 황제의 직계 친족들을 찾아 DNA 서열을 비교한 결과 ... ...
설사 걱정 없는 우유 특허 획득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있게 해준다. 효소를 담는데 쓰는 미세캡슐은 지방 성분으로 만들어졌다. 캡슐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1백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작아 우유를 먹을 때 캡슐을 느끼지 못한다.곽 교수는 “그동안 유당분해효소가 없는 사람을 위해 ‘소화 잘되는 우유’가 국내외에서 나왔지만 이는 미리 효소를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