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머리카락"(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작은 온도계가 개발됐다고 지난 2월 7일자 ‘네이처’가 보고했다. 이 정도의 길이는 머리카락 두께(약 1백μm)보다 약 10배 가늘다. 따라서 인간의 눈에는 이 온도계가 단지 보일듯 말듯 할 정도로 작은 점일 뿐이다.이 온도계는 나노과학을 이끄는 대표소재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개발됐다. ...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과학동아 l2002년 02호
- 광스위치를 제작하는 기술의 핵심에 바로 MEMS가 있다. 광스위치는 가로, 세로가 머리카락 4가닥 두께인 약 4백μm인 미세 거울로 구성돼 있다. 하나의 광섬유로부터 오는 광신호(빛)가 이 작은 거울에서의 반사를 통해 다른 광섬유로 이동하는 것이다.이같은 미세거울이 MEMS 기술로 제작되고 있다. 현재 ...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과학동아 l2002년 02호
- MEMS는 수μm(${10}^{-6}$m)-수mm의 초소형 시스템 제조 기술을 의미한다. 이는 단지 머리카락의 몇분의 1배 또는 몇배 정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현재 개발중인 첨단 초소형 장치 개발에는 MEMS 기술이 필수적이다.그런데 재미있게도 MEMS 기술은 오늘날의 정보통신 혁명을 가져온 실리콘 반도체의 ... ...
- 바닥이 허공에 떠있는 소음차단실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이것은 국제 기준으로 정해져 있다. 청소기가 빨아들여야 하는 큰 알갱이, 작은 알갱이, 머리카락, 솜털과 같은 재료를 일정 비율에 따라 섞는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영국으로 수출하는 청소기는 색다른 먼지를 포함해서 성능을 시험한다. 바로 페르시안 고양이의 털이다. 영국의 소비자는 ...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있었다.주먹구구식의 배열 방식탄소나노튜브는 두께가 수-수십nm(1nm는 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보다 10만배나 가늘고, 긴관 모양의 탄소로 이뤄진 꿈의 신소재다. 1991년 11월 일본 NEC사의 이지마 박사에 의해 발견돼 오늘날 나노과학의 붐을 일으키는 주인공 중 하나다.그 이유는 가늘다는 기본적인 ... ...
- 칩 위에 구현되는 마이크로 화학 공장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초미세 화학공정이란 말 그대로 실리콘칩 제조공정, 미세가공 공정기술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1백μm) 정도인 마이크로미터(1μm=${10}^{-6}$m) 단위에서 물질의 이동과 혼합, 그리고 분리 과정을 구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휴대용품뿐만 아니라 각종 ... ...
- 전투복에 사용되는 첨단 나노기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적극적으로 사용될 전망이라고 최근 밝혔다.나노기술로 생산된 새로운 재료의 두께는 머리카락 한가닥의 1/1백 정도로 얇아진다. 이런 재료를 기존의 재료와 적절히 혼합해 만들면 전투복의 색깔이 주변환경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자동으로 변하고, 전투복 내부 온도도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고 ...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머리카락의 성장을 담당하는 모낭세포가 바로 그곳이다. 이 때문에 항암제를 투여하면 머리카락이 빠지며 적혈구가 제대로 생산되지 못하는 부작용이 있다. 하지만 유전자치료법을 이용하면 이런 부작용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한 예로 골수의 조혈모세포가 항암제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 ...
- 국내 연구팀 선보인 꿈의 나노선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지름이 머리카락 굵기의 25만분의 1에 불과한, 세계에서 가장 가느다란 ‘나노금속선(線)’을 국내 과학자가 개발했다.포항공대 화학과 김광수 교수와 박사과정의 홍병희 씨는 단면이 은원자 2개로 이뤄진 0.4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굵기의 나노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논문은 미국의 ...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실시했다. 전자현미경에 대한 원리와 응용에 대해 비디오 상영과 함께 한 강의, 그리고 머리카락이나 개미 같은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물질을 바탕으로 3-4시간의 관찰을 해보는 자리였다.앞으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는 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시세계 교육을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