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정식"(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받는 사람의 이득과 도움을 주는 사람의 손해, 그리고 사촌 사이의 유전적 관련성을 미분방정식으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 모델이 얼마나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촌을 둔 미국 대학생 195명을 뽑아 설문조사했다. 위험한 상황에서 사촌을 도울지 말지, 돕는다면 위험을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서로 다른 5000가지의 경우를 살펴보기 위해 150가지 변수로 이뤄진 방정식을 생각해냈다.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엄청난 계산이 필요했다.이번에도 해결사는 컴퓨터였다. 첫 증명 이후 16년간 끊임없이 컴퓨터로 계산을 반복한 끝에 헤일스는 작년 8월 드디어 완벽한 증명에 성공한다. 컴퓨터가 400년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개발했다. 연구팀은 강화유리를 삼각형과 사각형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알맞은 편미분 방정식을 세워 외부 온도와 압력에 따라 저항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수학 모델을 이용해 강화유리의 안전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앞으로 유리의 종류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성을 ... ...
- 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확인하기 위해 12년 동안 매 1~2년마다 이들 부부에게 연락해 이혼 여부를 물었다. 그 결과 방정식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94% 가량 들어맞았다.연구팀에 따르면 백년해로할 가능성이 높은 부부는 서로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서로의 장점에 관심을 갖는 부부다. 어떤 신혼부부는 지금 당장 이혼하는 게 더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3D로 제작했다. 월트디즈니사의 애니메이션 총책임자인 앤디 핸드릭슨은 “복잡한 방정식으로 흐트러짐 없이 구성된 배경이 매 프레임마다 움직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샌프란쿄에는 8만 3000개의 빌딩과, 21만 5000개의 가로등(서로 다른 6개의 디자인), 26만 그루의 나무를 그려 현실감을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구분되지 않는다. 누가 보든지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특수상대성이론의 해석이 맥스웰 방정식에 이미 존재했던 것이다.If?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다면?2011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한 과학자는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수상대성이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 ...
- Intro 수학은 안다 가족끼리 왜이래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민족 대명절인 설날이면 평소에는 잘 만나지 않았던 친척들까지 모두 한 자리에 모인다. 오랜만에 만나 반가운 얼굴로 서로를 반기고 명절 내내 화목하게 보내지만, 때로는 사소한 의견 차이나 형제자매 사이의 미묘한 감정싸움으로 얼굴을 붉히는 일이 있다. 그런데 무심코 하는 이런 행동도 수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가우스, 뉴턴, 아인슈타인 같은 해외 유명인은 성만 불러도 누군지 금세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만약 유재석을 ‘유’라고만 불렀다고 상상해 보자. 아무도 유재석인지 모를 것이다. 십여 명만 모여도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체 인구 중 김씨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했습니다.처음에 제가 광전 효과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을 때, 학계에서는 맥스웰의 파동방정식을 부정하는 게 아니냐며 반가워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과학계에서는 빛이 파동이냐 입자냐를 놓고 오랫동안 갑론을박하고 있었던 상태였거든요. 토마스 영 이후 빛이 파동이라는 쪽으로 기울었다가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달라지는지를 예측했다. 맥스웰 방정식이란 전기장과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방정식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자기파에서 출발한 에너지 중에서 얼마나 열에너지가 되어 음식을 데우고 또 사라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쓰였다.이렇게 만든 수학 모델로 버드 교수는 음식을 가장자리에 놓을 때와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