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식
d라이브러리
"
방정식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야기로 돌아갈까요?“그러죠. 다음으로 박사후연구원인 마사미 와카노와 함께 상태
방정식
으로 중성자별과 백색왜성에 대해서 연구했습니다. 사실 수소폭탄 프로젝트의 경험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고도의 계산을 하는데 큰 도움을 줬습니다. 아마 오피(오펜하이머의 애칭)가 30년대에 며칠씩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 정도로 많은 프레임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죠. 비결은? 바로 수학이에요. 복잡한
방정식
으로 전후 영상을 분석하면 움직이는 요소와 움직이지 않는 배경을 파악할 수 있어요. 이를 바탕으로 매끈한 중간 영상을 만들어 붙입니다.”수학은 이렇게 전자기기와 미디어, IT, 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것입니다. 이 파동
방정식
앞에 붙어 있는 ∂와 ∇라는 기호는 미분을 뜻합니다. 파동
방정식
을 구하려면 미분과 적분을 꼭 거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수함수는 미분과 적분을 해도 모양이 유지됩니다. 덕분에 파동함수를 구하기가 간편해지고,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양자역학에 ... ...
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관한 함수 10개로 이뤄진
방정식
10개의 집합이었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새로운 장
방정식
들을 3쪽짜리 짧은 논문에 담아 11월 25일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에 발표한다. 이것이 일반상대성이론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기록이 담긴 자료와 비교 분석해
방정식
의 정확성을 높였다.아프탈리옹 교수는 “달리기
방정식
은 달리기 선수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일반인의 달리기 실력을 높이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면서, “달리기 외에도 자전거와 같이 지구력을 필요로 하는 ... ...
[수학뉴스] 스마트폰이 수학 문제를 대신 풀어준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인식하지 못한다. 또한 수식을 인식하는 빨간색 직사각형도 너무 작다. 그래서 연립
방정식
처럼 두 줄로 이어지는 식을 한 번에 인식할 수 없다.연구팀은 향후 이 기술을 발전시켜 PDF 스캐닝, 온라인 뱅킹과 같은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다. 앱 제작사인 마이크로 블링크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미르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반응은 냉랭했다. 1916년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
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9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한다고 주장했다. 1916년에는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
을 가지고 별 주변의 시공간이 얼마나 휘어지는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서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이 나온다.0.9cm로 압축하면 지구도 블랙홀!만약 어떤 별을 그 별의 슈바르츠실트 반지름보다 작게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심장을 2차원 수리 모델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슈퍼컴퓨터로
방정식
의 근사해를 구하면 심장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페스킨 박사는 최근 심장을 3차원 수리 모델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우리나라 연구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수 있을 만한 크기가 되어 있어요. 우리 몸을 촬영하는 CT장비가 고등학교 때 배우는
방정식
에서 시작된 게 좋은 예죠.”차근차근 계단을 오르듯이 수학을 알아갔더니 어느 날 영광스럽게도 아벨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는 얘기였다. 그러면서도 헝가리에는 자신보다 뛰어난 수학자들이 많아 아벨상이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