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구성의 변화 없이 단지 개체 수만 절반으로 줄어든다면, 세대가 짧고 무성생식을 하는
종이
많은 미생물의 특성상 금세 원래 개체 수를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타노스 핑거 스냅, 수소폭탄 11개 에너지이번에는 우주 생명체의 절반을 없애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지 ... ...
[화보] 지구에서 깊은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0만 광년 떨어진 조각가자리 은하(NGC 253)를 담은 그림. 흰색 파스텔과 젤펜만 이용해 검은
종이
위에 측면은하의 거대함을 묘사했다. 천체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는 정교함이 생명인 만큼 별들이 촘촘히 찍힌 점이 인상적이다. ▲ 느티나무의 꿈 / 이상일·지구와우주 분야 동상생텍쥐페리의 동화 ... ...
[수동TV] 놀라운 수학 선생님대회, 매스타킹!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주워 오라고 해서 만들던 것이 지금은 전시할 만큼 모였네요! 많은 사람이 수학이 그냥
종이
랑 연필만으로 하는 정적인 학문인 줄 알아요. 하지만 수학 교육이야말로 시각적인 도구나 체험을 많이 활용하는 분야예요. 이렇게 작품을 잔뜩 들고나온 것도 한 번이라도 더 눈에 익고 학생들에게 수학이 ... ...
[과학뉴스] 염소 크기만한 티라노사우루스 사촌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유사한 친척 종으로 크기가 염소만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약 9500만 년 전에 살았던 이
종이
깃털을 갖고 있었으며, 무게가 78kg밖에 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린지 잔노 연구원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진화 과정을 설명해줄 연결고리를 찾았다”며 “티라노사우루스를 비롯한 공룡의 거대화 과정을 ... ...
[수학체험실] 도형의 닮음을 이용해 복주머니 만들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의미로 선물했지요. 도형의 닮음을 활용해 정사각형을 9등분하고 예쁜 복주머니를 만들어 봅시다. 사용한
종이
재질이나 안에 넣은 재료에 따라 방향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질문에 ‘아니오’라고만 답해야 합니다.”기자는 가장 좋아하는 숫자인 ‘3’을 썼다.
종이
를 반으로 접어 이 경위에게 건네자 거짓말 탐지 테스트가 시작됐다. ‘당신은 1을 썼습니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5가 될 때까지 동일한 형태의 질문이 이어졌다. 질문과 질문 사이에는 10초 정도의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남은 푸딩은 몇 개일까요?’라는 식이죠. 그래서 분수, 소수 등의 유리수도 ‘모눈
종이
9칸 중에서 2칸을 색칠한 숫자’, ‘막대기를 7등분하고 3칸을 칠한 숫자’로 표현합니다. 실제 의미의 ‘유리수’가 아닌 자연수를 도구로 실험해서 만들어낸 수가 되는 거지요. 반면 중학교 수학은 본격적으로 ... ...
인터뷰. 한국 최고의 데이터분석관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한국은 덕아웃에 전자기기를 반입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실시간으로 분석해 자료를
종이
로 전달하지요. ‘기기’ 반입만 안 되니 기기로 만든 결과물은 줘도 되니까요. 이처럼 저는 데이터를 보고 분석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실 경기 전 연습할 때 말고 긴박한 경기 상황에서는 얼마나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지문을 2차원 평면에 표시하는 방식이어서 해킹 위험이 높았다. 손가락을 댄 부위에 특수
종이
를 붙였다가 떼는 것만으로도 지문 모양을 쉽게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3D로 지문을 이미지화하는 초음파 방식이 적용되면 이 같은 위험은 크게 줄어든다.2016년 11월 탕 하오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그가 정리하기 전까지 조선 나비는 900
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상당수가 동
종이
명이었던 것이다. 문 부소장은 “당시 일본 학계에서도 석주명의 연구에 별다른 반박을 하지 못했다”며 “사실상 자신들의 연구가 틀렸음을 시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후 석주명은 영국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