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이"(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문을 2차원 평면에 표시하는 방식이어서 해킹 위험이 높았다. 손가락을 댄 부위에 특수 종이를 붙였다가 떼는 것만으로도 지문 모양을 쉽게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3D로 지문을 이미지화하는 초음파 방식이 적용되면 이 같은 위험은 크게 줄어든다.2016년 11월 탕 하오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도마뱀과 악어 중 어떤 생물과 더 닮은 모습이었을까. 지구상에 살다 간 무수한 생물 종이 화석조차 남기지 못하고 멸종했다. 또 전체 몸의 골격이 온전히 남아있는 화석이 발견되는 경우도 극히 드물다. 네 다리 동물의 조상을 찾는 연구도 이런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었다. 그런데 2004년 독일 ... ...
- [수학공부 꿀팁]수학자가 되어 π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넓이 또한 고대 수학자처럼 구해본다면 이해가 쉬울 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원 모양의 색종이를 접어 16 등분, 또는 32 등분한 뒤 가위로 잘라 부채꼴 조각들을 만들었다. 이후 빗변끼리 만나도록 번갈아 연결해 붙였다. 그러자 완전하진 않지만 얼추 직사각형이 만들어졌다. 이때 세로는 원의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가 정리하기 전까지 조선 나비는 900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상당수가 동종이명이었던 것이다. 문 부소장은 “당시 일본 학계에서도 석주명의 연구에 별다른 반박을 하지 못했다”며 “사실상 자신들의 연구가 틀렸음을 시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후 석주명은 영국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역시 구리금파리였다. 다행히 구리금파리는 사육이 용이한 종이기 때문에 성장 정보가 잘 알려져 있다. 큰검정뺨금파리(Chrysomya pinguis) 등 야생성이 강한 일부 종은 사육이 불가능하다. 성장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견해도 사후경과 시간을 추정하기가 ... ...
- [핫이슈] AR을 찍자 눈앞에 한자가 나타났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한자마법이 나타나고, 멧돼지가 책속에서 튀어나와 움직여요. 증강현실(AR) 기술 덕분에 종이책이 보다 생생하게 변신하고 있어요. AR은 현실 세계에 3차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 주는 기술이에요. 헤드셋을 끼고 시야가 완전히 차단된 채로 가상의 세계를 체험하는 가상현실(VR)과는 다르지요. 몇 년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치는 친구들도 있을 것 같군요. 하지만 20x20 격자를 이렇게 손으로 계산하려면 꽤 큰 종이와 상당한 인내심이 필요할 거예요. 똑같은 계산을 프로그램으로 짜서 컴퓨터에 맡기면 훨씬 편하고 빠르게 답을 구할 수 있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경로의 수를 계산하다 보면 일반적인 정수 범위(32비트)를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매벤져스는 지사탐에서 했던 활동을 바탕으로, 환경에 따라 서식하는 매미의 종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로 했어요. 매벤져스는 각자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주변으로 나가 매미 울음소리를 녹음하고, 탈피각을 채집했어요. 그리고 이때의 온도와 탐사 장소에 녹지가 얼마나 많은지 기록했지요. ... ...
- Intro. 전지적 과학 시점 마시는 녀석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민 1인당 음료 소비량은 연간 69.7L, 하루 평균 190mL로 종이컵(195mL) 기준으로 매일 거의 한 컵을 마셨다. 마실 것이 넘쳐나는 시대. 일상생활에서 가장 쉽고 친숙하게 접하는 음료 11종을 전지적 과학 시점에서 분석했다. 독자 여러분의 음료 선택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면서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않고 일정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뫼비우스 띠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입니다. 종이 띠를 비틀어 양쪽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도 마찬가지로 안과 밖의 구별이 없습니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의 활용 분야 조규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