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전달하는 약 50µm 크기의 물고기 모양 로봇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수소이온농도(pH)에
반응
하는 하이드로겔로 로봇을 만들었다. 주변 pH 농도가 낮아지면 입을 벌려 담겨 있던 약물을 방출하게 한 것이다. 이 물고기 마이크로 로봇이 표적 암세포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도나노기술이 숨어 ... ...
돼지 심장 이식 영장류 182일째 생존…국내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미국 연구팀 이외는 없다. 이종 세포나 조직 대비 신장, 심장, 간 등 고형 장기는 면역거부
반응
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컨트롤 하는 것이 그만큼 어려워서다. 김현일 옵티팜 대표는 “지난해 형질전환 돼지의 신장을 영장류에 이식해 221일이라는 국내 최고 기록을 달성한 것과 ... ...
[푸드테크 뜬다]⑩ 초밥과 케이크도 인쇄하듯 찍어내는 '3D 푸드 프린팅'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모양과 재료를 갖춘 피자를 만드는 기술을 선보였다. 최근에는 폐플라스틱을 미생물과
반응
시켜 생성된 단백질 성분을 3D 프린터에 원료로 넣어 스테이크나 닭가슴살 등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연구 중이다. 2023년 3월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치즈 케이크를 만드는 기술을 선보였다. ... ...
전기차 배터리 완충하면 화재 위험 커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90% 기준은 일단 임시방편일 수 있다"며 "충전량이 절반 이하 수준으로 적으면 열폭주 연쇄
반응
이 유의미하게 약해지지만 제조사마다 배터리 셀이 다르고 주변 조건도 다양하기 때문에 안전 기준을 딱 정하기는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어 "1차적으로는 전기차 배터리 자체에서 화재 발생을 막는 ... ...
의식 없는 줄 알았던 식물인간, 외부 지시 모두 알아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8.15
설명했다. 보디엔 교수는 "이 분야가 계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도구를 검증하고
반응
이 없는 환자를 체계적이고 실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접근법을 개발해 검사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포함해 신체를 활용한 의사소통이 ... ...
신월성 1호기, 정기검사 중 임계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제공 경북 경주에 있는 신월성 1호기 원전의 임계가 허용됐다. 임계는 핵분열 연쇄
반응
에서 중성자 수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원자로 가동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6월 7일부터 정기검사를 실시한 신월성 1호기 원전의 임계를 14일 허용한다고 밝혔다. 정기검사 중에는 신월성 ... ...
유전자가위 이용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기반의 유전체 스크리닝 플랫폼을 활용한 이번 연구를 통해 TPST2가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반응
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이번 연구 성과는 TPST2가 면역관문억제제로서 새로운 항암 치료 표적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박 교수와 조 교수 ... ...
인구 10% 겪는 자가면역질환 제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면역
반응
을 조절하는 것이 공통적인 치료 전략이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자가면역
반응
을 일으키는 아미노산의 대사 메커니즘을 찾아냈다. 대사(metabolism)는 세포가 기능하기 위한 물질의 변화를 말한다. 면역세포에서는 특정 대사산물이 신호를 전달하거나 후속 대사를 변화시켜 면역기능을 ... ...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화학을 이용해 예측 값을 도출하는 ‘제일원리 계산’으로 검증했다. 전지의 충·방전
반응
매커니즘을 알기 위해서는 리튬 이온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른 전자 구조의 변화를 알아야 한다. 이 때 실험적인 방법으로 변화를 관측할 수 없어 계산 과학이 활용된다. 연구진은 계산을 통해 X-선 구조 ... ...
[과기원NOW] 항체 결합 약물 전달체, 암 치료 효과 높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수 있다. 항체 단백질은 MOF 입자 표면에 부착되며 암세포 외 다른 세포와 불필요하게
반응
하는 것을 줄여 생체환경 안전성을 높였다. ■ KAIST는 한동수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무선 신호가 없는 건물에서도 동작하는 '범용 실내외 통합 GPS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내외 전환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