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스페셜
"
위치
"(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도 다른 로봇의 시선에서 세상을 볼 수 있을까
2021.01.16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관찰자가 상대와 처지를 바꿔서 생각하고 상대의
위치
에서 상대가 초록색 점을 볼 수 있는지 없는지 안내 없이 이해하는 능력은 기초적인 공감 능력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 설명 동영상: https://youtu.be/f2U7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면역 체계, 돌연변이 방어할 수 있나?
2021.01.15
73, 74, 75, 76 번째
위치
) 서열은 병독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그러므로 73번째
위치
에서 일어난 Y73C 돌연변이도 병독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Q27정지 및 Y73C 돌연변이는 병독성을 약화시켜, B117 감염자에서는 증상이 미약하게 나타날 것이다. “B117 환자에서 감염 증상이 더 ... ...
코로나 바이러스 돌연변이, 문법 찾는 AI로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단백질이 백신 회피와 연관이 있었다. HIV에서는 V1과 V2 단백질 중간 부위가 가장 위험한
위치
로 나타났다. 브리슨 교수는 “돌연변이 가능성이 큰 곳을 예측해 변이에 대비하고 낮은 곳을 예측해 새로운 백신의 좋은 표적을 찾아낼 수 있다”며 “백신 회피를 감시하는 데 필요한 것은 만들기 쉬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변이체가 되었다(Korber et al., 2020).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째
위치
의 아미노산이 D(아스파르트산)에서 G(글라이신)로 바뀌었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다. 앞서 언급했듯이 영국 변이체에서도 D614G 변이가 발견되어 G형에서 파생된 것으로 분류한다. 그림2.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 ...
공전주기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01.12
제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2004년과 2017년에 촬영한 HD 106906 b의
위치
를 기준으로 행성의 공전주기가 1만 5000년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HD 106906 b와 중심별인 쌍성계와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거리의 737배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행성과 중심별과의 거리가 멀수록 행성의 ... ...
유전자 가위 노벨상 받고 다시 세기 특허전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소요되는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며 “툴젠은 각 저촉심사에서 시니어 파티라는
위치
를 선점했기 때문에 유리한 상황에서 권리를 확보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
과학동아
l
2021.01.09
CNN은 이미지 분석에 주로 활용되던 방식으로, 문장 내에서 단어의 순서를 보존해 각
위치
에서 독립적으로 단어의 의미와 표현 방법을 분석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문장의 길이가 길어지면 성능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트랜스포머는 어텐션 매커니즘(attention mechanism)만을 활용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새해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바람직한 습관'
2021.01.09
헬스장에 등록한 사람들의 경우 헬스장의
위치
가 가까울수록 더 방문 빈도가 잦았고
위치
가 멀수록 방문 빈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특히 헬스장이 8km 이상 거리에 있으면 일주일에 한 번 갈까말까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한다. 이 외에도 건강한 식습관을 들이고 싶다면 ... ...
"코로나19 극복에 과학기술·ICT 힘 모아야" 과기인·정보방통인 신년인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1.01.08
활용해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고 진단키트를 빠르게 개발했으며 개인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분석해 신속한 역학조사가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 디지털 뉴딜과 코로나19 대응 치료제·백신 개발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
침으로 진단하는 타액검사법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필요 없어 의료 과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현재 주로 쓰이는 비인두도말법은 콧속 깊이
위치
한 점막을 면봉으로 긁어 검체를 채취해야 해 의료진이 필요하다. 타액검사법은 침만 뱉어 제출하면 돼 누구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타액검사법은 별도의 시설과 방역 조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도 있다.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