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플랫랜드 이야기수학동아 l2010년 06호
- 플랫(Flat)은 ‘평평한’이라는 뜻입니다. 플랫랜드는 평평한 2차원의 세계로 그 곳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 사람들이 삽니다. 정다각형일수록, 변의 수가 많을수록 신분이 높은 사람입니다. 이 플랫랜드에 사는 정사각형 주인공은 어느 날부터 이상한 일을 겪습니다. 그 결과 새로운 ...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존재도 처음에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우리의 필요에 의해서 탄생했습니다. 우리가 사는 곳의 높은 빌딩, 아름다운 조형물, 이 모든 것이 철저한 학문적 기틀 위에 서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하학의 뿌리는 무엇일까요?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수학바빌로니아 사람들은 거대한 구조물을 건설하는 데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저출력까지 다양한 출력의 레이저광을 생산하며 응용 연구를 병행하고 있는 이곳은 국내 레이저 연구의 메카나 다름없다. 오랜만에 APRI의 이종민 소장을 만났는데, 어째서인지 이 소장이 싱글벙글 웃는다.“2012년까지 두 개의 빔라인에서 각각 500TW(테라와트, 1TW=1012W)씩 합쳐서 1PW(페타와트, 1PW=1015W ...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입장을 나타냈다.그는 “성공가능성이 낮은 도박”이라며 “차라리 그 비용을 다른 곳에 투자하면 훨씬 양질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하인버그 연구원은 “지금보다 태양과 풍력에너지가 1000배 이상의 효율을 가진 상황이 와도 석유시대와 같은 에너지 풍요가 ...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지역 음식(local food)의 대표주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 회사는 올해 안에 10여 곳에 식물공장을 추가로 지을 계획이다.장기간 육지를 떠나 생활하는 유조선이나 화물선 선원들을 위한 소형 식물공장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 보통 2달 정도 바다에 있기 때문에 선원들은 한동안 신선한 ...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걸리기 때문이다. 1997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 연구팀이 광자의 양자정보를 1m 떨어진 곳에 전송한 뒤, 똑같은 광자를 만들어내는 데 최초로 성공하긴 했지만 인간에게는, 그리고 테란에게는 아직까지 요원한 기술이다.언젠가는 프로토스가 타임머신도 만들어낼 것이다. 프로토스는 이미 연결체 ...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했던 황복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황복은 자갈이 깔려 있고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서 알을 낳는다. 이 때문에 산란기가 되면 좋은 환경을 찾아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지금의 강바닥은 부유물로 뒤덮이고 물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밭을 찾는 일이 ...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응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서울대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에서 소장을 맡고 있다. 이곳에서는 나노전기공학, 나노화학재료공학, 나노생명과학의 첨단 연구를 진행 중이다.“이제 회로선폭이 30nm(나노미터, 1nm= 10-9m)인 반도체가 등장하며‘30나노시대’가 왔습니다. 반도체는 회로 선폭이 ... ...
- TV as the Most Important and Newest Technology?과학동아 l2010년 05호
- 60%로 올라갔습니다. 이것은 선진국에 비하면 월등히 뒤떨어지는 수치입니다. 미국 같은 곳에서는 사람 수보다 TV 수가 더 많습니다. 그에 비해 세계적인 인터넷 접근성은 미미합니다. 아프리카 사하라 지역에서만도 다음 5년간 약 500만의 가구가 TV를 보유하게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1년에 1번 이동한다. 대개 날씨가 바뀌고 먹이가 부족해지면 계절에 따라 사는 곳을 옮긴다. 새들이 방향을 찾는 데는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다. 태양이 비치는 방향을 나침반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길잡이의 근거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 때에 따라서는 계절에 따른 바람 방향을 ... ...
이전5365375385395405415425435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