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1년에 1번 이동한다. 대개 날씨가 바뀌고 먹이가 부족해지면 계절에 따라 사는 곳을 옮긴다. 새들이 방향을 찾는 데는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다. 태양이 비치는 방향을 나침반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길잡이의 근거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 때에 따라서는 계절에 따른 바람 방향을 ...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얻었다. 이를 통해 춘분날 태양은 첨성대에서 볼 때, 정남에서 서쪽으로 약 91.41° 치우친 곳으로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첨성대에서 볼 때 태양은 서쪽의선도산으로 지게 되는데, 선도산이 평지보다 올라와 있기 때문에 실제로 측정했을 때는 계산보다 서쪽으로 덜 치우칠 것으로 예상됐다.계산에 ...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걸리기 때문이다. 1997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 연구팀이 광자의 양자정보를 1m 떨어진 곳에 전송한 뒤, 똑같은 광자를 만들어내는 데 최초로 성공하긴 했지만 인간에게는, 그리고 테란에게는 아직까지 요원한 기술이다.언젠가는 프로토스가 타임머신도 만들어낼 것이다. 프로토스는 이미 연결체 ...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했던 황복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황복은 자갈이 깔려 있고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서 알을 낳는다. 이 때문에 산란기가 되면 좋은 환경을 찾아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지금의 강바닥은 부유물로 뒤덮이고 물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밭을 찾는 일이 ...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응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서울대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에서 소장을 맡고 있다. 이곳에서는 나노전기공학, 나노화학재료공학, 나노생명과학의 첨단 연구를 진행 중이다.“이제 회로선폭이 30nm(나노미터, 1nm= 10-9m)인 반도체가 등장하며‘30나노시대’가 왔습니다. 반도체는 회로 선폭이 ... ...
- TV as the Most Important and Newest Technology?과학동아 l2010년 05호
- 60%로 올라갔습니다. 이것은 선진국에 비하면 월등히 뒤떨어지는 수치입니다. 미국 같은 곳에서는 사람 수보다 TV 수가 더 많습니다. 그에 비해 세계적인 인터넷 접근성은 미미합니다. 아프리카 사하라 지역에서만도 다음 5년간 약 500만의 가구가 TV를 보유하게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7000광년 떨어진 곳에는 뱀자리가 있어요. 이 안에는 독수리성운(Eagle nebula)이라는 곳이 있는데, 이 뿌연 먼지 구름 속에서많은 별들이 태어나고 있어요. 초록색 구름은 차가운 먼지 구름이고, 빨간색 구름은 별이 태어나면서 그 열기로 뜨거워진 먼지 구름이랍니다. ▲ RCW 49를 찍은 또 다른 ... ...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살리기 대작전 왜 4를 싫어하나?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닥터 피노키오! 수학으로 거짓말을 밝혀 줘~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의뢰 2 도박으로 날린 돈을 찾아 주세요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 ...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vertical line test라고 한다. 그래프에 x축과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직선과 점이 한 곳에서 만나면 이 함수는 일대일함수다. 만약 두 점 이상에서 만나면 이 함수는 x에 대해 같은 값을 갖는 원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일대일 함수인지를 알아보는 이 방법을 영어로 horizontal line ...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달리, 0.8~28μm 대역의 적외선으로 우주를 관측한다. 적외선처럼 빛의 파장이 길수록 더 먼 곳에 있는 물체를 볼 수 있다. JWST가 초기 우주의 비밀을 풀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유다. 실제로 허블이 나이가 수십 억 년인 우주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JWST로는 3~5억 년일 때까지도 관측할 수 있다. 현재 우주 ... ...
이전5405415425435445455465475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