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경험으로 만들어 낸다. 청자의 색은 유약 뿐만 아니라 가마의 온도, 불때는 연료, 소성
방식
등에 크게 좌우된다"고 말한다. "요즘 만들어진 청자나 고려시대 청자 가운데 가끔 균열이 간 것이 눈에 띄는데 전성기 때 고려청자는 수천년이 지나도 균열이 보이지 않는다. '장인정신이 그 속에 깃들어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인간이나 동물의 동작에 의해서 작동하는 단순한 센서는 고대부터 있었다. 그러나 동작
방식
을 감응하고 받아들여 그 정보에 의해서 기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거의 최근에 나왔다. 초기의 중요한 두가지 발명은 18세기에 이루어졌다. 우선 최초로 등장한 것은 1745년에 에드몬드 리에 의해서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가려뽑고 다시 생각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하나의 발명품이 나온 뒤에도 여러가지
방식
과 형태를 연구해보는 습관이 필요하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아주 가까운 곳에 그대로 뒹굴고 있는 경우가 많고, 두번째 이후의 발명품이 훨씬 훌륭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줄기차게 참고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풍부한 해양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인공섬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종래의 매립
방식
이 아닌 물에 떠있는 구조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인공섬이 주목받고 있다. 실용화시기는 의외로 빨라 2000년 정도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잡는 어업'이 아니라 '기르는 어업'을 목표로 하는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들은 "전통적인 아날로그식 전자 시뮬레이션보다 보통의 디지털컴퓨터 프로그래밍
방식
으로 인간의 지능을 흉내내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이 유치원생들도 쉽게 하는 도형맞추기 같은 장난감에 매달리기보다 고등수학의 정리증명이나 체스게임에 ... ...
「초당 1조번 처리속도」새기술 공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었다. 힐리스는 종전에 SIMD
방식
을 고집했다. 그러나 이번 제품에서 그는 SIMD와 MIMD 두
방식
을 교묘하게 절충했다. 독립적으로 작동하던 노드들은 필요할 때마다 상호 연결된다. 사람에 비유하면 한꺼번에 1만가지나 다른 일을 하는 셈이다.발표한 지 한달만에 싱킹머신사는 CM-5 4대를 주문받는데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문제풀이를 잘하면 그만이라는 교사의 수가 점차 늘고 있다. 학생들도 조금 색다른 수업
방식
은 사절이다. 입시문제는 너무 골치 아프고 이야기해 봐야 끝도 없으니까 피해 보자는 경향이 이제는 지배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과학교육이 진정 바른 길을 찾아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물론 국내에 팔 때도 로열티를 지급하고 있는 실정. 이런 전례를 과감히 탈피하자면 독자
방식
은 외길 수순이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수상기 연구개발 못지않게 방송 및 전송기술개발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HDTV가 차세대 TV로 완벽하게 자리잡으려면 해결해야할 과제가 하나 더 있다. 바로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오류라는 사실을 확인했다.해링튼은 런던에서 열린 왕립천문학회 모임에서 자신의 계산
방식
을 바꾸어 이 변화된 사실에 맞추려고 했다. 그는 행성X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이며 주기는 1천년, 3백년전에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고 주장했다. 또 이 행성은 명왕성보다 50퍼센트정도 더 먼곳에 ... ...
일본 과학의 독창성 논쟁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의 질서를 우선하는 사고
방식
은 기초과학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하는 점. 미지의 첨단분야 연구는 가능한한 관심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참가, 아이디어를 내놓고 비판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 대단히 유익하다. '관계자라면 누구든지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