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분류하여 각 자소를 만들고 이를 조합하여 글자를 만드는 조합형(모아쓰기) 서체
방식
을 택하면 자소의 개수가 4백~7백자면 되므로 노력이 많이 절약되기는 하나 글자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모아쓰기는 글자의 일관성 유지나 신서체 개발에 매우 유리하므로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해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회사에 의해서 1971년에 발표되었다. 보통 도트매트릭스(dot-matrix)라 불리는 이
방식
은 고정된 활자가 없다. 단지 몇개의 핀들이 핀뭉치에서 전기 신호를 받아서 필요한 모양의 글꼴을 찍어낸다. 결국은 이 점들이 조합되어 여러가지 글자나 도형을 만들어낸다. 이것의 실용화는 1970년대 초부터 맹렬히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용될 때는 2개의 전극을 합선시킬때 일어나는 불꽃방전, 즉 전파에너지에 의한 통신
방식
에서 출발했던 사실을 상기하기 바란다.광파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광섬유 한가닥으로 보낼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대략 15Tb/s(15조비트)정도로 보고 있다. 이는 전화 2억회선을 구성할 수 있는 용량이다.신도시에 ... ...
(1) KS한글코드 바뀌어야 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나라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금은 각 나라마다 컴퓨터 내부에서 제각기 다른
방식
으로 문자를 표현하기 때문에 어느 한 언어에 맞게 수정하는 작업이 대단히 어렵게 되어 있다. 국제표준도 유동적이다결국 컴퓨터의 문자 코드에 국제 표준을 제정하려는 뜻은 정보의 교환이라는 측면도 ... ...
3 선진국은 상용화, 국내는 시범단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거는 경우 송수화기를 드는 행위, 다이얼을 누르는 것 등이 모두 사전에 설정된 신호
방식
이다. 현재의 전화는 정보전달과 신호 전달에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ISDN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별도의 채널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화중에도 별도의 신호 채널이 ... ...
(4) 한글언어개발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데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멀티바이트(multi byte) 형태로 처리하는 것은 영문중심의 사고
방식
이며, 한글을 셋방살이 시키는 것이다.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자료형을 정의하고 영문은 여기에 포함시켜야 한다.타이컴이 주는 교훈최근에 기쁜 소식 한가지와 슬픈 소식 한가지를 들었다.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최근에 STN 액정을 사용하고 각 화소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을 채택해 응답속도와 대비율을 크게 개선시키고 있다. 그러나 TFT로 구동하는 40인치 크기의 LCD를 제작한다고 가정할 때 한장의 유리기판위에 약 6백만개의 TFT를 형성시켜야 하는데, 이때 수율이 매우 낮아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시공 방법은 70년대와 대동소이했다. 그러나 올림픽선수촌(24층)이 새로이 내진설계
방식
으로 시공된 점은 지금까지와 다른 특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80년대에 와서 고층건물의 설계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두 현상은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과 구조 설계에 컴퓨터활용의 급속한 증대다. 70년대부터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메모리칩을 사용하며 선(회로)과 선 사이의 간격을 보다 촘촘히 하고 다층기판
방식
을 이용하거나 여러개의 부품을 하나로 통합한다.컴퓨터 본래의 기능을 살리면서 가볍고 작게 만들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문제도 문제려니와 주변환경이 중요하다. 현재 75~78키로 구성된 노트북의 키보드는 입력에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남아 있다. 이전과 같이 인공위성으로 달을 탐사하고 한정된 지역의 자료를 채취하는
방식
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제 원하는 곳으로 가서 자료를 채취해 분석할 수 있는 단계가 됐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원격조종을 통해서 공상과학과 같은 일들을 달에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즉 달에 영구적인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