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흑점폭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끼흑점이 태양 표면의 자기시스템을 불
안
정하게 만들어 CME나 플레어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기존 흑점 주변에 자기적으로 반대인 새끼흑점이 새로 나타나면 자기재결합으로 폭발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새끼흑점이 마치 방아쇠 역할을 하는 ... ...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 결빙방지단백질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치료처럼 줄기세포를 보관했다가 나중에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보관이
안
되면 말짱‘꽝’ 아니겠어요? 과학자들은 극지 생물에 들어있는 결빙방지단백질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하지만 아직은 결빙방지단백질을 대량으로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요. 북극에서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분명하다. 에너지로서의 석유는 물론 그 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석유를 대신할 수 있는 대
안
을 찾아야 한다. 셰일 가스는 화석 연료를 조금 더 오래 쓸 수 있도록 유예 기간을 줄 뿐이다. 생각보다는 유예기간이 꽤 길지 모르겠지만 ... ...
천문학자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같은 이유로 지난 7년 동
안
우리 연구실의 그룹미팅은 영어로 진행되어 왔다. 이 시간 동
안
난 흰 머리가 많이 늘고 우리 학생들은 위산과다가 된다. 그런데, 핵심은 단순히 영어를 잘 구사하는가가 아니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외국인도 자기가 한 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 ...
자기 자신에게 휴식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세워. 그런 다음 본격적으로 공부해. 문제를 풀 때 시험 시간보다 10분정도 더 짧은 시간
안
에 완벽하게 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면 처음엔 힘들지만 여유와 자신감이 생길거야.” 상담 선생님은 H학생의 소심한 성격을 걱정했다. H학생은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다음문제로 넘어 가지 못한다. 그렇기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있는 분비샘의 총체라고 할 만큼 중요한 곳이다. 십이지장의 내부에도 주름이 많이 있다.
안
쪽 벽 3분의 1 지점에서 소화액을 분비한다. 이자에서 만들어진 중탄산염과 트립신, 라이페이스, 아밀레이스와 같은 소화효소들이다. 포유동물은 십이지장에서 철 흡수가 주로 이뤄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셀을 관측해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그리고 SDO의 태양지진 및 자기장 영상장치로 셀
안
의 자기장을 관측했다.태양도 3D로 본다이처럼 요즘에는 3차원 영상으로 태양을 관측하고 있다. ‘아바타’나 ‘드래곤 길들이기’ 같은 3D영화를 만드는 기법을 그대로 태양을 관측하는데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 ...
수명 결정하는 텔로미어, 자연계에서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텔로미어는 염색체가 복제될 때 염색체 끝에 달려서 염색체의 훼손을 막아주는 염기서열이다. 세포분열을 오래 반복해 텔로미어가 닳아 없어지고 염색체가 훼손되 ... 측정했다. 그 결과, 급격하게 짧아진 텔로미어를 가진 새는 실제 나이와 관계없이 1년
안
에 죽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지난 9월 27일 구미 공단의 한 공장에서 정말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맹독성의 플루오린화 수소(불화수소, HF)가 가스 상태로 대기 중으로 유출되 ... 한다는 것이 우리 사회의 정서다. 사고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책임감을 가지고 주민들을
안
심시켜야 하는 것이 바로 정부의 책임이다 ... ...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연구가 지금처럼 발전하면 저도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상을 바라며 연구해서도
안
되고, 그러지도 않지만 제가 이 분야에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솔직히 미래에 노벨상 받는 기대도 조금 해봐요. 하하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