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웹인터내셔널 대표 윤석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달력 형식으로 된 '세계사 365일' 홈페이지는 매일 매일 일어난 국내외의 흥미롭고 다
양
한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한글로된 설명과 세계의 우수한 관련 사이트를 링크시켜 풍부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해놓아 막 네티즌의 대열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인터넷의 진수를 맛 볼 기회를 제공한다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혈관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절단시켜 이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성공률이 높은 방법이지만 환자 복재정맥의
양
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혈관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하다.현재 상품화된 것으로 사람의 탯줄이나 시신, 동물로부터 얻은 생체조직을 화학적으로 처러힌 생체 인공혈관, 그리고 테플론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뼈·연골·관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맺고 있다.최근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분야에서는 환자의 연골세포를 체외에서 배
양
, 연골조직으로 만들어 다시 환자의 손상부위에 이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환자의 다른 연골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만 채취해 사용하므로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첨단의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모른다. 컴퓨터의 발전 속도가 10년에 10배 정도 증가한다고 하니까, 23세기쯤 되면 방대한
양
의 정보를 단시간에 처리해야 하는 순간이동장치가 컴퓨터 기술로 실현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스타트렉의 매장면들 속에서 우리는 “완벽하게 금지된 일이 아니면 언젠가는 반드시 일어난다”는 ... ...
온라인교육, 교실교육보다 효과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주목된다. 지금까지 수많은 대학들이 온라인 교육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엄청난
양
의 돈을 퍼부었음에도 단편적인 데이터를 제공했을 뿐이었다.슈트교수는 이같이 기대하지 않았던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은 가상교실 안에서 ‘온라인 합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학생들이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투과형 전자현미경은 수백만배의 미시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했다. 1981년에는
양
자역학을 이용한 주사형터널링현미경(STM)이 등장해 원자도 볼 수 있게 됐다 ... ...
"나 스트레스 받았어요"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내리면
양
분은 떨어져 나가고 그 자리를 수소이온이 차지해버린다. 결과적으로 땅 속에
양
분은 없어지고 수소이온만 남게 된다.만일 한두 그루에서만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면 다행이지만 범위가 확대되면 그 지역의 생태계가 조만간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남산이 서울시민의 쾌적한 ... ...
인터넷 최대동물원 주넷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뜻의 '금발자국'을 달아 주고 있다. 선정기준은 홈페이지의 겉모
양
보다는 정보의
양
이나 깊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드시 동물원 공식 홈페이지가 아니더라도 동물에 관한 좋은 정보를 갖고 있는 사이트라면 금발자국을 달 수 있다. 옆의 홈페이지는 지난달 금발자국을 얻은 영국의 ... ...
1.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물이 빨리 어는 이유를 말씀해 주셨다. 뜨거운 물에서는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 많은
양
의 열을 주위로부터 가져가기 때문에 빨리 식어서 더 먼저 언다는 것이다. 따라서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 것을 보려면 증발이 아주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해야한다고 하셨다. 또 아주 뜨거운 물과 미지근한 물을 ... ...
달 남극에서 얼음호수 발견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있는데, 이곳에 1만5천5백m2에 달하는 약 7.5m 두께의 얼음호수가 있다는 것이다. 얼음의
양
은 12만m3로 추정된다. 또한 근처에 있는 지름 2백10km의 구덩이에서 얼음이 발견됐다. 학자들은 달에 있는 얼음호수가 약 36억년 전 물이 풍부한 혜성의 잔해가 떨어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때 충돌한 혜성은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